Q. 집에서 생선 요리를 하면 비린냄새가 많이
생선 비린내는 주로 트리메틸아민 옥사이드(TMAO) 라는 물질이 원인입니다.살아있는 생선에는 냄새가 없는 TMAO 형태로 존재하지만, 생선이 죽으면 박테리아와 효소의 작용으로 인해 트리메틸아민(TMA)이라는 휘발성 물질로 변하게 되는데, 바로 이 TMA가 비린내를 유발하는 물질입니다.특히 생선의 신선도가 떨어질수록 TMA 생성이 활발해져 비린내가 더욱 심해그고, 또한 민물고기의 경우에는 TMAO 대신 다른 질소 화합물이 분해되면서 흙냄새나 곰팡이 냄새와 유사한 비린내가 날 수 있습니다.그렇다고 모든 생선이 강한 비린내를 풍기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생선들은 비린내가 비교적 적게 나기도 합니다.대표적으로 도미, 광어, 민어, 대구 등 기름기가 적은 흰 살 생선은 붉은 살 생선에 비해 비린내가 덜합니다. 특히 민어는 비린내가 거의 없고 맛이 좋아 고급 생선으로 여겨지기도 하죠.그리고 구워드신다고 하셨으니, 구이용으로 많이 먹는 임연수어도 비린내가 적은 생선입니다.
Q. 사자나 호랑이같은 맹수들은 먹이를 잡아서
나름의 소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어 충분한 소화과정을 거치게 됩니다.특히 대부분의 육식동물은 매우 강력한 위산을 분비하는데, 이 강한 산은 음식물을 화학적으로 분해하고, 특히 뼈와 같은 단단한 조직을 녹입니다. 또한,먹이에 있을 수 있는 유해한 박테리아나 미생물을 죽이는 역할도 합니다.그리고 위에서 어느 정도 분해된 음식물은 소장으로 이동합니다. 소장에서는 다양한 소화 효소들이 분비되어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과 같은 영양소들을 더욱 작은 분자로 분해하는데, 통째로 삼킨 먹이의 경우, 표면적이 넓지 않기 때문에 소화 효소의 작용이 더 중요해집니다. 이 때 장의 근육 운동인 연동 운동은 음식물을 소화기관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소화 효소와 골고루 섞이게 하고, 영양소 흡수를 돕는 것입니다.결론적으로, 맹수처럼 먹이를 씹지 않고 통째로 삼키는 육식동물들도 강력한 위산과 특화된 소화 효소, 장의 운동 등을 통해 효율적으로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진화해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