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선인장의 경우 어떻게 극한 환경에서도 살아날수 있는건가요?
먼저 선인장은 물을 저장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납니다.선인장은 두꺼운 줄기에 물을 저장하는 조직이 있는데, 이 조직은 스펀지처럼 물을 흡수하고 저장하여 건조한 환경에서도 오랫동안 견딜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선인장의 표면은 두꺼운 왁스층으로 덮여 있어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밤에 기공을 열어 수분 손실을 줄이는 것이죠.또한 말씀하신 선인장의 가시는 잎이 변형된 형태로, 표면적을 줄여 수분 증발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게다가 선인장의 뿌리는 넓고 얕게 퍼져 있어 짧은 시간 내리는 비라도 최대한 흡수할 수 있죠.
Q. 꿀벌의 개체 수가 줄었다고 하는데, 현재 상황은 어떠한가요?
꿀벌은 보통 봄부터 가을까지 활발하게 활동합니다. 특히 꽃이 피는 시기에 맞춰 꿀과 꽃가루를 채집하죠.즉, 3~5월까지 봄에는 겨울잠에서 깨어 꽃이 피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하고 6~8월까지 여름에는 꿀벌의 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로, 다양한 꽃에서 꿀과 꽃가루를 채집합니다. 그리고 9~11월 가을에는 겨울을 대비하여 꿀을 저장하고, 활동량이 점차 줄어듭니다. 그리고 12~2월 겨울에는 겨울잠을 자며, 최소한의 활동만 유지합니다.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꿀벌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하지만, 그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기후 변화나 살충제 사용, 서식지 감소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수치상으로는 2021년 겨울에는 78억 마리의 꿀벌이 사라졌고, 2022년 9월부터 11월 사이에는 100억 마리가 사라졌으며, 2023년 초에는 약 140억 마리의 꿀벌이 사라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Q. 세자매 농법에서 각 작물들이 하는 역할이 무읫인가요?
말씀하신대로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전통 농법인 '세 자매 농법'은 옥수수, 콩, 호박을 함께 심어 서로에게 도움을 주는 방식으로 효율성을 높이는 농법입니다. 옥수수는 튼튼한 줄기로 자라 콩이 타고 올라갈 수 있는 지지대 역할을 합니다.세 작물 중 키가 가장 커서 햇빛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옥수수는 다른 작물들이 햇빛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며 심는 것이 포인트입니다.콩은 공기 중 질소를 땅속으로 흡수하여 옥수수와 호박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합니다.옥수수 줄기를 타고 올라가면서 옥수수가 바람에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도 합니다.마지막으로 호박은 넓은 잎으로 땅을 덮어 잡초가 자라는 것을 막고, 토양의 수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토양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다른 작물들이 잘 자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죠.
Q. 조(좁쌀)은 어떤 식물을 작물화한 건가요?
먼저 조의 기원을 알기 위해선 학명을 알아야 하는데, 조는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학명은 'Setaria italica'입니다.다만 현재까지 그 기원을 정확히 알지는 못하지만, 강아지풀을 개량하여 작물화한 것이라는 것이 가장 유력한 가설입니다.강아지풀은 조와 같은 속(Setaria)에 속하는 야생 식물로, 조와 매우 유사한 형태와 유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전자 분석 결과 조는 강아지풀의 특정 아종을 선택적으로 재배하고 개량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졌습니다.조는 약 1만 년 전부터 중국 북부 지역에서 재배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됩니다.초기 인류는 강아지풀의 알곡을 식량으로 이용하면서, 알곡이 크고 수확량이 많은 개체를 선별하여 재배하기 시작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지속적인 선별과 재배를 통해 강아지풀은 점차 조의 형태로 진화하였고,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자리 잡은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