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기린은 목이 길어서 목이 꺽일거 같은데 위험하지 않나요?
아직 기린의 목이 왜 그렇게 길어졌는지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그 때문에 많은 가설들이 있습니다.그나마 가장 인정받는 가설은 먹이 경쟁에 관한 가설이며 그 외에 성 선택, 체온 조절 등이 있습니다.물론 말씀하신대로 목이 길기 때문에 여러가지 문제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말씀하신 목이 꺽이는 것도 그 문제점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기린은 긴 목을 지탱하기 위해 특별한 근육과 인대를 가지고 있고 또한, 목뼈의 관절 구조가 유연하여 목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그리고 심장과 머리가 멀어져 뇌까지 혈액을 공급하기 어려운의 문제도 생길 수 있지만, 높은 혈압과 특별한 목 혈관 구조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했죠.또한 기린은 긴 목 때문에 땅에 있는 먹이를 먹거나 물을 마실 때 불편함을 겪습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 다리를 넓게 벌리거나 무릎을 굽혀 몸을 낮추는 자세로 먹이나 물을 섭취하고 있습니다.
Q. 옛날에는 염주비둘기가 우리나라에 살았는데 왜 지금은 안 오게 되었나요?
염주비둘기는 사실 말씀하신대로 우리나라에 살던 텃새 중 하나였습니다.하지만 그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어 현재는 멸종 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거의 찾아보기 힘든 동물이 되었죠.염주비둘기가 사라지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서식지의 파괴 때문입니다.즉,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염주비둘기의 주요 서식지인 숲과 농경지가 파괴되었고 그 결과 많은 개체수가 사라지게 된 것입니다. 더군다나 그 와 더불어 염주비둘기의 먹이인 곡물, 씨앗, 열매 등이 감소한 것도 큰 원인이 되었습니다.게다가 멧비둘기, 집비둘기 등 다른 비둘기과의 경쟁 종이 증가하면서 염주비둘기의 서식지는 더 급격하게 줄어들게 되었고 식용을 위한 밀렵으로 인한 포획도 횡횡하며 개체수의 급감으로 이어진 것입니다.
Q. 사람의 눈이 이렇게 진화된 까닭이 뭐죠?
사람의 눈은 단순히 시각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과도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특히, 인간의 흰자위가 두드러지는 특징 또한 이러한 사회적 기능과 연관된 진화로 추정됩니다.다시 말해 사회적 소통 기구로 활용되기 때문입니다.흰자위가 뚜렷하면 다른 사람이 어디를 보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협력, 공감, 속임수 감지 등 사회적 상호작용에 필수적인 능력입니다. 특히 인간은 복잡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능력이 뛰어난데, 흰자위는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것입니다.그리고 눈은 감정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흰자위의 변화는 두려움, 놀람, 슬픔 등 다양한 감정을 드러내어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풍부하게 만드는 역할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