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대체당 음료를 곤충이 맛을 보기 시작하면 모일 수도 있지 않을까요?
제로음료에 사용되는 인공감미료는 인간의 미각에 맞춰져 있기 때문입니다.곤충은 주로 포도당, 과당과 같은 천연 당분에만 이끌리는데, 이는 제로 칼로리 음료에 사용되는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과 같은 인공 감미료는 곤충이 선호하는 당분과는 화학 구조가 다르기 때문입니다.게다가 만일 곤충이 인공감미료에 단맛을 느낀다고 해도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당분이 아니기 때문에 크게 매력을 느끼지 못합니다.그리고 곤충은 특정 당분을 감지하는 수용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인공 감미료는 이러한 수용체에 결합하지 못하거나, 결합하더라도 곤충의 에너지 대사 과정에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반응하지 않는 것입니다.일부 연구에서는 특정 인공 감미료가 오히려 곤충에게 일종의 혼란을 일으켜 오히려 기피하게 만든다는 결과도 있습니다.결론적으로, 제로 칼로리 음료에 사용되는 인공 감미료는 곤충이 선호하는 당분과 화학 구조가 다르고, 곤충의 생리적 특성에도 맞지 않기 때문에 곤충을 유인하지 않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양쯔강 돌고래는 완전히 멸종한 것인가요?
안타깝지만 양쯔강 돌고래는 이미 멸종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양쯔강 돌고래는 '바이지'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한때 중국 양쯔강에 서식했던 희귀한 민물 돌고래였습니다.그러나 산업화로 인한 환경 오염, 무분별한 어획, 댐 건설 등으로 개체수가 급감했으며 2006년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양쯔강 돌고래를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했고, 2007년에는 공식적으로 멸종이 선언되었습니다. 그러나 멸종 선언 이후에도 양쯔강 돌고래를 목격했다는 주장이 간헐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아직까지 생존 가능성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개가 인간보다 청각이 발달한 이유가 뭔가요?
이미 말씀을 하셨지만 구조적인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개는 인간보다 훨씬 넓은 범위의 주파수를 들을 수 있습니다. 인간은 20Hz~20,000Hz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반면 개는 65Hz~45,000Hz의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즉, 인간이 듣지 못하는 고주파 영역의 소리까지 들을 수 있죠.게다가 개의 귓바퀴는 18개의 근육으로 조절되어 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소리의 방향과 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작은 소리까지도 들을 수 있습니다. 반면, 인간의 귓바퀴는 움직임이 제한적이죠.특히 개의 고막과 청소골은 인간보다 훨씬 민감하게 반응하여 작은 소리도 크게 증폭시켜 들을 수 있는 것입니다.이렇게 개처럼 뛰어난 청각을 가진 대표적인 동물은 고양이와 박쥐 등이 있고, 돌고래와 올빼미, 코끼리도 사람보다 훨씬 뛰어난 청력을 가진 동물로 매우 유명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구 온난화가 되면 온난화에 최적화된 생물만이 남게 될까요?
사실 양쪽 모두 명확하게 답을 하기는 어렵습니다.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은 생물들에게 상당히 복잡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단순히 따뜻한 곳에 사는 생물만 살아남거나 생물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은 아닌 것이죠.현재 대부분의 생물은 생존이 가능한 온도 범위가 있습니다. 그래서 지구 온난화로 인해 급격한 온도 변화가 발생하면 이러한 생물들은 멸종 위기에 처할 수 있으며 특히, 극지방이나 고산지대에 서식하는 생물들은 서식지 감소와 온도 변화에 더욱 취약합니다.물론 말씀하신대로 일부 생물들은 온도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 따뜻한 온도에서 서식이 가능하여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곤충들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번식 시기를 앞당기거나 서식지를 이동하는 등의 방식으로 적응하게 될 것입니다.그러나 지구 온난화는 이런 생물에 한정되지 않고, 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종 간의 상호작용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예를 들어, 먹이 사슬의 변화, 질병 확산, 서식지 경쟁 심화 등이 발생하는 것입니다.결국에는 생물 다양성은 감소할 가능성이 높으며, 급격한 환경 변화는 대부분의 생물들에게 적응할 시간을 주지 않으며, 이는 대규모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입니다.결론적으로 지구 온난화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생물은 따뜻한 곳에서도 살 수 있어야 하지만, 꼭 온도에 한정되지 않고 지구온난화로 인해 바뀐 환경에도 빠르게 적응을 할 수 있는 생물이 살아남을 수 있는 것입니다.즉, 높은 적응력과 빠른 번식력, 짧은 세대주기, 따뜻한 온도에서 서식이 가능한 넓은 온도 적응력, 어디서든 시식할 수 있는 넓은 서식범위 등의 다양한 조건이 필요하다 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은 왜 꼭 죽어야 하는건가요???
생물학적으로 본다면 세포의 노화가 가장 큰 이유입니다.즉,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세포는 시간이 자나며 손상되고 점차 그 기능을 잃어가게 됩니다. 이러한 세포 노화가 축척되고 결국 장기 기능 저하로 이어지며 사망에 이르는 것입니다.또 인간의 수명은 유전적인 이유도 있습니다. 다시 말해 유전적으로 생존에 장점을 얻을 수 있는 유전자가 역으로 질병을 일으키거나 일부 질병에 취약한 경우가 많아 수명을 단축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그리고 꼭 유전적인 이유가 아니더라도 사고나 질병이 세포 손상을 가속화시켜 생명을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경우도 상당히 많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4464474484494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