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파리 구더기가 피부에 침투할 수 있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파리 구더기가 사람의 피부에 침투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파리 구더기는 보통 죽은 사체의 유기물이나 오염된 환경에서 서식하며, 살아있는 사람의 피부를 뚫고 침투하는 종류는 아닙니다. 예외적으로 의료목적으로 구더기를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면 구더기가 피부에 침투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 장기 배양 기술이 재생의학과 이식 분야에 주는 미래 비전은?
무엇보다 특정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된 조직 및 장기를 실험실에서 배양한 세포나 조직으로 대체하거나 재생시켜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실제 심근경색으로 손상된 심장 근육을 재생하거나, 파킨슨병으로 손상된 뇌 세포를 대체하는 등의 연구가 진행 중이죠.또한 환자 맞춤형 장기를 배양하여 질병의 발생과 진행 과정을 연구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질병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신약 개발을 위한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으로 활용되어 난치병 치료제 개발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특히 환자 자신의 세포를 이용하여 장기를 배양하므로 면역 거부 반응의 위험을 최소화하여 장기 이식 후 발생하는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죠.무엇보다 장기 부족 문제 해결법이 될 수도 있습니다.그렇지만, 재생의학이 실제 임상에 적용되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대규모 생산은 물론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복잡한 혈관 등을 재현할 수 있는 완성도를 높여야 하죠. 게다가 면역반응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도 필수적입니다.하지만 무엇보다 안정성 확보가 우선적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다른 때보다 연꽃이 일찍 핀듯 한데요.
말씀하신 대로 연꽃이 예년보다 일찍 개화했다면 자연환경의 변화, 특히 기후 변화의 영향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식물은 개화에 필요한 일정량의 따뜻한 온도를 축적해야 꽃을 피웁니다. 그래서 기후 변화로 인해 봄철 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따뜻한 날씨가 일찍 찾아오면서, 연꽃이 개화에 필요한 온도를 더 빨리 충족시켜 개화 시기가 당겨질 수 있습니다.또한 식물은 기온과 더불어 낮의 길이에도 영향을 받아 계절 변화를 인지하고 최적의 조건일 때 꽃을 피웁니다. 일조량이 늘어나는 것 역시 개화 시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물론, 특정 지역의 수질이나 토양, 영양 상태 등이나 품종의 특성에 따라서도 개화 시기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지만, 많은 지역에서 나타나는 개화 시기 변화는 대부분 기후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매미 에벌레의 몸에는 병균이 많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매미 애벌레 몸이나 허물에 사람에게 해로운 병균이 아주 많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매미 애벌레는 흙 속에서 살기 때문에 다양한 미생물과 접촉하며 지냅니다. 하지만 이 미생물들이 모두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아닙니다. 대부분은 토양 생태계의 일부로 사람에게 직접적인 위협을 주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또한 매미의 허물은 기본적으로 곤충의 몸을 보호하던 키틴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허물 자체에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는 특정한 병원균이 다량으로 번식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게다가 애벌레의 몸에서 나온 후에는 건조해지면서 미생물 활동도 제한적입니다.결론적으로, 매미 애벌레나 그 허물 때문에 질병에 걸릴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장수말벌은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나요?
장수말벌은 상상 이상으로 다양한 곤충을 포식합니다.특히 산림 해충이나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나방, 나비 유충, 딱정벌레 등을 잡아먹어 특정 해충의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이는 산림 생태계의 건강을 유지하고 농업에도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죠.또 장수말벌은 말씀하신대로 곤충 생태계 내에서 사실상 최상위 포식자에 해당합니다. 이들은 다른 곤충들의 개체수를 조절하며 먹이사슬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는 의미인 것이죠.그리고 꿀벌처럼 활발하지는 않지만, 장수말벌도 꽃의 꿀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꽃가루를 옮겨 식물의 수분을 돕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물론, 장수말벌은 꿀벌 군락을 습격하여 양봉 농가에 큰 피해를 주기도 하고, 사람에게도 위험한 곤충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위협에도 불구하고 자연 생태계에서는 먹이사슬의 중요한 구성원으로서 개체수 조절, 해충 방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71727374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