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약료상담
Q. 다리에 쥐가자주나는데 원인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보통 수면 중에 쥐가 나는 이유는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라 볼 수 있습니다. 수면 중에는 몸을 거의 움직이지 않고 심박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혈액 순환이 늦어집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잠자리에서 뒤척이다보면 다리근육이 과도하게 수축된 효과가 나타나 경련이 일어나게 됩니다. 즉, 평소에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다면 수면 중에 다리에 경련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집니다. 또한, 칼슘과 마그네슘이 부족하여 영양 불균형이 일어나면 근육에 경련이 일어날 수 있어 몸에 칼슘이나 마그네슘이 부족한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따라서 이러한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혈액 순환에 도움이되는 처방을 복용하시거나, 당귀와 같은 한약재를 달여서 드셔서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집니다. 또한 영양분의 부족으로 인한 결과일 수도 있기 때문에 칼슘이나 마그네슘제제를 매일 복용하시는 것도 좋습니다.아무쪼록 답변이 도움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간에 좋은 음식및 약초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간에 좋은 한약재로 알려진 구기자를 추천드립니다. 구기자는 본초학에서 보음약에 속하면서, 간과 신장에 도움이 되는 약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구기자의 약리성분인 betaine은 간보호 작용이 뛰어나며, 간의 해독기능을 돕고 간의 염증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betaine은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방간을 예방하는데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이 밖에 다른 좋은 약재로는 결명자가 있습니다. 결명자에 함유된 성분인 chrysophanol, emodin은 간기능 이상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앞서 말씀드린 구기자와 결명자는 차로 달여서 드시는 방법도 있기 때문에 접근이 쉽습니다. 또한, 현재 복용 중이신 우루사와 간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실리마린과 같이 드셔도 문제가 없습니다.아무쪼록 답변이 도움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생신때 공진단을 드릴려고 하는데 효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우선 공진단은 사향, 녹용, 산수유, 당귀로 구성된 약입니다. 공진단의 주된 효능으로는 피로회복, 면역력 증대, 수족냉증개선, 혈액순환개선 등이 있습니다. 특히, 과로하거나 이제 막 병에서 회복하여 체력이 많이 저하되어 있을 때 복용하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다만, 공진단은 현재 구하기 어려운 사향을 함유하고 있어 가격이 매우 높습니다. 방약합편에서는 사향을 구하기 어려울 경우 이를 침향이나 목향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실제로 침향을 사용한 침향공진단도 장복할 경우 사향공진단 처럼 약효를 볼 수 있습니다. 침향공진단은 사향이 아닌 침향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편입니다.아무쪼록 답변이 도움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역류성식도염에 좋은 한약재나 한약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위산이 역류하는 증상으로 불편을 겪으시는 중이시면 반하사심탕의 복용을 추천드립니다. 반하사심탕은 약국에서도 한약제제로 과립제나 액상형태로도 판매 중이기 때문에 쉽게 구하실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반하사심탕은 반하, 황금, 황련, 건강, 인삼, 감초, 대추로 구성된 처방입니다. 이 중 반하와 건강은 위산이 역류하는 것을 억제해줍니다. 특히, 반하의 phytosterin이 위산의 역류와 구역감을 막아주는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삼은 명치부분이 그득하거나 팽만한 느낌을 완화시켜주며, 황련은 berberi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약재로 헬리코박터 균의 증식을 막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황련은 소염효과가 탁월하기 때문에 위염 자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아무쪼록 답변이 도움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보약을 먹을때 먹으면 안되는 음식은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대표적으로 피하실 것을 추천드릴 음식으로는 녹두와 무(생무)가 있습니다. 또한 가급적 커피와 녹차같은 카페인 음료도 피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우선 녹두는 알라닌, 시스테인, 글리신과 같은 아미노산을 다수 함유하는데 해당 아미노산은 간의 해독과정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원래는 독성물질의 해독과정을 촉진시켜야하지만 한약을 복용하는 중이라면 한약의 약효도 중화시켜 약효를 줄일 수도 있습니다. 즉, 녹두가 한약의 약효를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한약 복용 중에는 녹두를 피하셔야 합니다.무(생무)의 경우는 지황, 숙지황이 함유된 한약의 약효를 약화시키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보통 보약에는 숙지황이 들어가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무(생무)는 가급적 피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커피와 녹차 같은 카페인 음료는 카페인을 다량함유하고 있습니다. 카페인은 교감신경을 흥분시키는 효과가 있는데 만약 복용중인 한약이 교감신경을 흥분시키거나 억제하는 약효가 있다면 커피의 카페인이 이를 방해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아무쪼록 답변이 도움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