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성균관대 영문학 및 신문방송학과 전공

성균관대 영문학 및 신문방송학과 전공

장경수 전문가
동화세상에듀코
Q.  인디언들도 국가를 구성했나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북아메리카 인디언들은 부족 국가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편의상 '부족' 또는 '족'으로 표기할 뿐이지, 대부분의 북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은 소규모 집단으로 된 부족이 아닌 여러 부족과 마을이 모인 연맹에 가까웠다. 수우나 푸에블로 역시 여러 지족이 모인 연맹체였으며, 이로쿼이 연맹은 5개의 대부족이 연합한 정치적, 문화적 연합이었다. 부족 연합 수준에만 머물러 있던 것도 아니라서 포우하탄처럼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도 있었고 미시시피 문화와 선대 푸에블로 문화는 대도시, 대규모 건축물, 신전, 포장도로 등 각종 발전된 시설을 갖춘 거대한 읍성국가였다.
Q.  왜 동북아시아국가의 설날은 음력설과 양력설 2개로 나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본래 우리 민족은 전통적으로 음력 1월 1일 정월 초하루를 설날이라는 명절로 즐겨 왔는데 1895년 을미개혁과 함께 당시 태양력을 따랐던 일제는 자신들에게 맞는 양력설을 새롭고 진취적이라는 의미에서 신정이라고 부르고 그 당시 식민지 상태였던 한국인들이 쇠는 음력설은 오래되어 폐지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구정이라 불렀습니다.그 이후 일제의 강압에 못 이겨 신정을 세는 사람들과 꿋꿋하게 음력 1월 1일을 설날로 세는 사람들로 나누어졌는데 일제 식민정책에 의해 생겨난 신정과 구정에 대한 혼란은 해방 이후 1954년 대통령령으로 발효된 관공서에 공휴일에 관한 건에 따라 양력 1월 1일부터 3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면서 가중되었습니다.음력 설날에는 이중과세(이중으로 새해를 맞이하는 일)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모든 공공기관에는 정상 근무를 일반 국민들에게는 휴업 금지 등을 강요하던 때도 있었는데 1985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음력 설날은 공휴일로 지정되고 민족대명절로 자리를 잡게 되었답니다. 당시 관공서에 공휴일에 관한 규정 중 개정형에는 음력 설날을 민족의 날로 지정해 설날 당일 하루를 공휴일로 하는 내용을 담았습니다.그리고 4년 뒤인 1989년에 민속의 날을 설날로 바꾸는 내용의 개정령이 발효되면서 비로소 음력 설날이 민족의 대명절로 자리잡게 되었고 이때부터 음력 설날 휴일은 사흘로 늘었으며 양력설은 사흘에서 하루를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Q.  공손찬이 북방민족여 강경한 입장을 보인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대 중국 문화권에서는 변방 오브 변방에 비(非) 한족계 민족들이 다수 섞여 살았던 요서군 출신이라 항상 변경을 침공하는 오랑캐들에게 강경했지만, 의외로 휘하 장수인 유비의 기병에서 볼 수 있듯이 오환족 기병을 거느리는 등 유화적인 면도 있었다. 오랑캐들에게 항상 무서운 얼굴로 잔인하게 말하고 부모의 원수 대하듯 대했다는 영웅기의 기록같은 걸 보면, 싸울땐 싸우고 자신에게 투항하는 자는 관대하게 받아주었던 듯 하다. 매우 용맹하여 적군이 움직이는 흙먼지를 보곤 본인이 직접 달려나가 대낮부터 한밤중까지 미친듯이 싸워댔다는 기록이 남을 정도로 죽음을 무릅쓰고 싸우는데 전혀 주저함이 없었다.
Q.  야쿠자가 가장 세력이 강할때 몇명이나 되었으며 이들의 매출은 얼마나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전성기를 맞이했던 일본 야쿠자는 한때 연매출 100조원에 가까운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국방 예산 2.5년에 준하는 수치다.공개채용도 서슴지 않았던 야쿠자의 가장 큰 조직은 '야마구치구미(山口組)'라는 곳이다. 이 조직에서 나온 거액의 검은 돈이 국제 금융시장을 흔들자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야마구치구미 두목을 국제적 위험인물로 지정, 자산 동결 조치까지 취했다. 하지만 이곳의 조직원도 9300명이 감소, 현재 1만4100명에 달한다.이는 조직 내부의 갈등으로 일부가 독립해 지난해 8월 '고베(神戶)야마구치구미'라는 조직으로 독립했기 때문이다. 고베 야마구치구미의 조직원은 현재 6100명으로 규모 3위를 기록하고 있다
Q.  인류는 왜 두발로 직립 보행을 하게 진화가 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류가 귀한 먹이 따위를 운반하면서 직립 보행을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는 최신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25일 보도했다.영국과 일본, 포르투갈 과학자들은 600만년 전 갈라진 인류와 침팬지의 공동 조상들이 두 발로 걷게 된 생태학적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 침팬지들의 행동을 관찰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커런트 바이올로지 최신호에 발표했다.침팬지들은 서식지에 흔치 않아 언제 다시 얻을지 모르는 귀한 먹이를 독점해야 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는 네 발 대신 두 발로 걷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발로 걸으면 앞발을 먹이를 나르는데 쓸 수 있어 더 많은 먹이의 운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시간이 지나면서 강력한 직립보행 행동은 해부학적 변화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먹이 등 자원을 놓고 경쟁이 심한 곳에서 자연선택의 대상이 됐을 것으로 학자들은 보고 있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