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러시아 대공국은 현재 러시아와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키예프 대공국러시아는 슬라브족을 중심으로 다민족으로 구성된 국가이다. 러시아 역사는 류리크 왕조 시기, 로마노프 왕조 시기, 소비에트 시기, 현대 자본주의 러시아로 크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고대 러시아 역사는 오늘날 우크라이나의 키예프를 중심으로 형성된 키예프 대공국에서 시작한다. 서기 882년 루스족의 전설적인 지도자 올레그가 키예프를 점령하여 키예프와 노브고로드, 블라디미르 등에 공국을 세우면서 러시아의 고대 역사가 시작되었다. 988년 블라디미르 대공이 동로마 정교회를 수용했다. 야로슬라프 통치기에 키릴 문자를 수용하고 발전시켜 오늘날 러시아어의 근간이 되게 했다. 키예프 대공국은 종교와 문자, 법전을 만들어 고대 국가를 이루었다.키예프 대공국은 1237년 칭기즈칸의 손자인 킵차크한국의 바투를 지도자로 한 몽골군의 침입을 당했으며 1240년 붕괴하였다. 몽골은 1240년 이후 200년 넘게 러시아 지역을 통치했다. 몽골의 러시아 통치 방식은 초기의 직접 통치에서 후기에 간접 통치로 바뀌었다. 간접 통치 형태는 러시아의 여러 지역에 있는 공국 중에서 힘 있는 공국에 조공 징수권을 위임하여 조공을 징수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모스크바 대공국이 대표적인 공국으로 부상했다.대공국의 정의일반적인 통치작위, 제후(Prince) 작위를 가진 군주가 통치하는 영지를 일컫는 말. Principality/Fürstentum의 번역어로 사용된다. 영어 Prince가 군주를 호칭하는 뜻으로 쓰였을 경우, 한국어로는 대공(大公)으로 번역하는 것이 표준국어사전에도 등재되어 있을 정도로 일반적인 어휘 사용이므로, 일단은 이러한 정체(政體)를 대공국으로 임의로 번역하였으나, 아래 번역 관련 항목이나 공국 문서에서도 나오듯 혼동의 여지가 있는 번역이다.러시아 공화국1990년 6월 12일 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러시아 공화국을 선언했다. 그러나 소련의 해체와 민족주의의 대두 등의 사회적 혼란으로 러시아 경제는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결국 러시아는 1998년 모라토리엄을 선언했다. 2000년에 보리스 옐친에 이어 대통령에 당선된 블라디미르 푸틴은 ‘강력한 러시아’를 내걸고 경제 개혁과 부패 척결을 내세움으로써 국민의 지지를 받았다. 2008년에 대통령 연임을 2회까지 허용한다는 규정에 따라 푸틴은 총리였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를 대통령으로, 자신은 총리가 되었다. 또한 대통령의 임기를 6년으로 헌법을 바꾸었다. 2012년에 다시 대통령이 된 푸틴은 현재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하고 있다.
Q.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강제로 합병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 러시아에 지배당한 크림반도와 크림 타타르인 1783년 예카테리나 2세가 통치하던 러시아제국은 크림반도를 지배하고 있던 오스만제국에 승리하고 크림을 러시아의 일부로 편입시켰습니다. 당시 크림에 살고 있던 사람들은 대부분 크림 타타르인 (투르크계 민족으로 대부분 이슬람교도) 이였으며, 러시아제국에 합병된 이후 차별을 받기 시작, 소련시대에 들어가 그 정도가 더 심해졌습니다. 그 결과로 1917년부터 33년까지 크림 타타르인의 반이 살해당하거나 기아로 인한 사망하는 일이 많았으며 1944년에는 나머지 크림타타르인 마저 소련에 의해 추방되어 중앙아시아에서 살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인구의 극소수만이 크림타타르인인 상황입니다. 2. 선물로 우크라이나에 전달된 크림반도1954년 당시 소련 지도자 후르쇼프는 개인적으로 아주 친밀한 관계였던 우크라이나에게 크림반도를 이관시켰습니다 . 바로 러시아에서 우크라이나에게 주는 같은 민족(동포)에의 선물이였던거죠. 당시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 소비에트 연방국가에 속했기 때문에 크림반도가 우크라이나의 관리하에 들어간다고 해도 큰 변화는 없어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소련이 붕괴하고 나자 상황은 달라졌습니다. 3. 소련붕괴 후 크림반도소련이 붕괴하기 직전인 1991년 말, 우크라이나는 소련에서 독립하기 위해 찬반투표를 진행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수도였던 키예프에서는 96% 찬성, 하지만 크림반도에서는 55% 찬성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다른 지역에 비해 독립에 찬성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훨씬 낮았던 거죠. 그리고 소련에서 독립 후 1년이 되기도 전인 1992년 5월에 크림 주의회는 크림공화국을 세워 우크라이나에서 독립을 선언했습니다. 물론 러시아는 이를 지지했고요. 하지만 러시아가 체첸공화국의 독립문제해결을 우선시하며 크림독립 지지를 중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크림공화국의 독립은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1998년에 우크라이나 국내에서 자치권을 획득하며 마침내 크림자치공화국이 되었죠. 4. 친러시아파와 친서방(유럽)파로 분열소련 붕괴 후 독립한 우크라이나는 사회주의에서 서서히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체제로 변해갔습니다. 그 중에서도 유렵에 친화적인 친유럽파와 러시아에 친밀한 러시아파로 의견이 대립되기 시작했습니다.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였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 나라를 새로 만들어나갈지를 놓고 두의견이 팽팽하게 맞선 것이죠. 5. 무력충돌 그 와중에 201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이였던 친러파 야누코비치는 EU(유럽연합)에 가입을 미루고 러시아와 조약을 맺으려는 결정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반대한 친유럽파들이 대대적으로 항의하며 그 해 11월 유로마이단(직역하면 유럽광장)이라 불리는 시위운동이 시작되었죠. 이 시위는 지속적으로 일어나며 많은 참가자들이 친러파 아래에 있던 경찰이나 정부군에 의해 학살당했습니다. 그러나 결국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탄핵당하여 러시아로 망명하고 친유럽파에 의한 대통령이 탄생했죠. 6. 크림반도 합병 친유럽파에 의한 새로운 정부가 세워지자 친러파가 많이 거주하던 크림반도와 동우크라이나 지역에서도 항의시위가 시작되었습니다. 친러파에 의한 항의운동이였죠. 결국은 친러파와 친유럽파 쌍방의 무력 충돌이 2014년 시작되었습니다. 리틀그린맨이라 불리는 무장병사들이 크림반도의 정부기관을 점령한 것이죠. 그 결과로 크림 자치공화국의 수장은 새롭게 친러파 세르게이가 지도자로 선출되었습니다. 이 흐름을 타고 크림자치공화국은 러시아의 일부가 되기로 하는 합의를 합니다. 그리고 2014년 3월 주민투표 후 우크라이나에서 독립하여 러시아로 편입이 승인되었습니다. 크림자치공화국중선거관리위원회 (친러파 관리)에 의하면 투표의 찬성률은 96%였다고 발표했지만, 크림 타타르인의 대부분은 투표를 거부했기 때문에 정당성을 인정하기는 어렵죠. 결과적으로는 이투표와 러시아의 무력 점령으로 인해 크림반도는 우크라이나 측의 의견은 완전히 무시당한채 일방적으로 러시아 영토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