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세라는 제도가 우리나라에만 있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전세는 우리나라에서만 존재하는 독특한 임대차 제도 입니다. 일부 유사한 형태가 있는 국가도 있지만 한국처럼 보증금을 60~80% 이상 맡기고 월세 없이 거주하는 전세 제도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일본, 독일, 프랑스, 중국, 미국 등의 경우에도 비슷한 개념들이 있기만 하지만 대부분 월세의 개념에 가깝습니다.한국에서 전세제도가 발전하게 된 건 과거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고, 금융 시장이 발달하지 못하면서 발생한 제도 입니다. 집주인들이 대출을 실행하기 어려워 직접 전세금을 받아 활용하고는 했습니다. 최근에는 전세사기, 깡통 전세 문제 등이 커지면서 전세의 안정성이 흔들리고 있어 반전세나 월세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 입니다.
Q. 신축빌라 분양 정보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신축빌라에 대한 정보는 네이버 부동산, 다방, 직방, 한방 등 앱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며,빌라정보통이라는 곳에서도 확인이 가능한데 확인해 보니 서울, 경기, 인천 쪽 빌라 정보들만 업데이트가 되어,전국적으로 확인은 어려운 듯 합니다.신축빌라의 경우 허위 매물이 많을 수도 있으니 직접 발품을 팔아서 방문을 해보셔야 하고,공인중개사와 등기부등본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수적 입니다.
Q. 한은의 금리인하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변화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금리 이하는 부동산 시장에 아래와 같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매수 심리 회복 및 거래량 증가 - 대출 부담이 줄어들게 되면 매수 시장이 살아날 가능성전세보다 매매 선호 증가집값 하락세 둔화 또는 반등 가능성 - 부동산 시장의 심리적 전환점을 제공하여 천천히 회복하는 형태가 될 가능성건설, 부동산 PF 문제 완화 가능성월세 시장 변화 - 월세에서 전세로 전환하는 경우가 증가할 수 있으면 이는 월세 가격 하락 가능성을 의미결국 금리 인하는 부동산 시장 회복을 어느정도 촉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서울, 수도권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이 반등하게 될 수 있습니다. 단, 금리 인하는 원화 약세로 이어져 수입 물가 상승의 위험이 존재 하므로 너무 빠른 금이 인하는 단행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