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보험계약대출시 신용점수에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보험 대출을 받았다고 해서 신용점수가 하락하지 않습니다. 대출실행 이후 이자를 잘 상환하고 있고 과도한 대출금의 상환이 아니라면 오히려 신용 점수가 상승합니다. 이유는 NICE, KSD 신용점수의 적용기준이 대출받은 사람이 제때에 이자를 잘 상환하면 점수가 올라가는 구조로 설계돼 있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 신용평가 하는 항목은 크게 4가지로 1)상환이력 2) 부채수준 3)신용거래기간 4)신용거래형태 를 심사합니다. (어떻게 보면 대출이 없다면 위 항목에 대한 평가가 불가하는 오히려 신용점수가 낮게 형성됩니다.)대출 상환이력은 대출이자의 정상적인 상환을 기준으로 평가하고, 부채 수준은 과도한 대출을 받았는지는 평가하며신용거래 기간은 대출의 이용 기간을 평가합니다. 그리고 신용거래 형태는 은행의 대출인지, 대부업체의 대출이지를 보고 신용점수에 반영합니다. 예상해 보건데 대출을 받고 정상적으로 이자를 상환한다면 앞으로 2~3월 뒤에는 오히려 신용점수가 많이 올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Q. 농협에서 법인통장 개설했고 하나더만들때 준비서류 똑같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네 동일합니다.대표자 본인의 갈 경우는 신분증, 사업자, 법인등기부, 도장 갖고 가면 됩니다. 근데 통장 만들 때 인감증명서는 필요 없는데 왜 요구하는지 모르겠네요.법인 대리인 갈 경우에 법인인감증명서는 필요하고, 위임장도 갖고 갑니다. 그리고 대리인 신분증도 함께 갖고 가면 됩니다. 나머지 서류는 동일합니다.
Q. 가계부실 위험지수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계의 채무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가계의 소득과 자산을 대비하여 가계부채의 부실 위험을 측정하는데 이 지수는 소득 측면에서 원리금상환비율(DSR)과 자산 측면에서 부채/자산비율을 결합하여 산출합니다. 그래서 100을 기준으로 이를 초과하면 위험가구로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DSR(소득측면) : 가구 연소득이 5,000만 원이고, 연간부채상환액 2,000만 원이라면 DSR은 40% (소득의 40%가 대출 상환에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부채/자산비율(자산측면): 자산(부동산, 금융자산 등)의 총 5억 원이고, 총 부채가 5억 원이라면 부채/자산비율은 100%(5억원/5억원) 자산의 100%가 부채로 충당되고 있음을 뜻함.따라서 DSR = 40%, 부채/자산비율 =100% ---> 가계부실위험지수 = 100만약 DSR이 50%로 증가, DTA가 120%로 증가하면 가계부실위험지수 = 100 초과, --> 위험가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