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기준 금리를 올리는게 좋지 않나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좋은 의견입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너무 늦었습니다. 지금 금리 인상은 더 큰 어려움을 초래합니다. 어렵게 끌고 있는 PF시장의 붕괴, 코로나 이후 소상공인 가계대출의 부실 심화, 일부 금융기관부실(새마을금고), 부동산 경기 악화가 눈에 보듯 뻔합니다. 희생이 너무 큽니다. 이제는 인내하며 미 연준의 금리인하 만을 기대하며 우리도 금리 인하 준비를 해야 할 때입니다. 환율이 상승하고 있지만 생각보다 우리나라 외환시장이 잘 견기도 있습니다. 당행스럽게도 어제, 오늘 환율은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 외환보유고는 4000억달러 수준으로 세계 9위의 달러보유국입니다. 더욱이 우리나라 기업은 반도체, 식품, 화장품등 필두로 수출이 좋습니다. 아직 견딜만 합니다.
Q. 제가 가지고 있는주식이 제3자배정 유증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호재일수도 있고 악재일수도 있습니다. 다만 제3자 유상증자 공시가 나왔는데 떨어졌다면 악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제 3자 배정 유상증자는 시장에서 부정적 반응을 줄 수 있습니다. 기존 주주들의 지분 희석 우려(주식 수 증가), 최대주주의 지배력 강화(소액주주 피해), 회사의 재무 상황이 좋지 않다는 신호등 입니다.물론 긍정적 반응으로는 최대주주의 투자하는 것임으로 회사의 신뢰, 회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잇고, 재무적 안정성 개선의 기대도 할 수 있습니다.
Q.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서 유상증자방식은 여러가지 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자금목적이나 운영자금확보를 위한다면 일단 일반 유상증자를 하고 증자가 참여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제3자배정을 하는 것이 순서입니다.그런데 제 3자 배정 유상증자를 한다는 의미는 시장에서 부정적 반응을 줄 수 있습니다. 기존 주주들의 지분 희석 우려(주식수 증가), 최대주주의 지배력 강화(소액주주 피해), 회사의 재무 상황이 좋지 않다는 신호등 입니다. 물론 증정적 반응도 있습니다. 최대주주의 투자하는 것임으로 회사의 신뢰, 회사의 성장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잇고, 재무적 안정성 개선의 기대도 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자금 조달 방식으로는, 주주배정 유상증자(기존 주주들에게 지분율에 따라 신주를 배정하는 방식), 일반공모 증자(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방식)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주주배정 후 남은 주식을 일반 투자자에게 공모하는 방식) 전환사채(CB)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하는 방법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