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대 초반에는 술 한창 먹기 시작하는데도 암 발생이 높지 않은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20대 초반에는 신체의 세포 회복 능력과 면역 기능이 상대적으로 뛰어나고, 암세포가 생기더라도 이를 억제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이 강합니다. 또한 암은 일반적으로 세포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누적되며 생기기 때문에, 발병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술, 흡연, 수면 부족 같은 유해 습관이 지금 당장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처럼 보여도, 시간이 지나며 손상된 세포가 제대로 회복되지 못하면 암 발생 위험은 점점 높아지죠또한, 암은 단일 요인보다 유전적 소인, 환경 요인, 생활 습관 등이 오랜 기간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20대 초반의 짧은 음주 이력만으로는 바로 암으로 이어질 확률이 낮습니다. 하지만 이 시기에 형성된 음주 습관이 중장기적으로 유지되면 30~40대부터는 실제 암 발생률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건강을 지키려면 지금부터도 적정 음주와 생활 습관 관리가 중요합니다
Q. 한포진 관리 및 치료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한포진은 주로 손과 발에 수포가 생기며 가려움과 염증을 동반하는 만성 피부 질환으로, 스트레스, 땀, 금속 알레르기(특히 니켈), 피부 자극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지인이 말한 소금물에 손을 담그는 방법은 일시적인 진정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염증이 심한 상태에서 소금물은 오히려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해요특히 피부가 갈라졌거나 상처가 있다면 감염 위험도 있구요치료는 보통 스테로이드 외용제나 심한 경우 항히스타민제, 면역조절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손을 자주 씻되 보습제를 잘 발라 피부 장벽을 회복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금속 알레르기 의심 시 니켈 등의 섭취나 접촉을 피하고, 필요시 패치 테스트로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확인하는 것도 도움돼요피부과 진료를 통해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체계적인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Q. 녹내장 초기 약을 넣었더니 두통이있는데 계속 이런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녹내장 안약을 처음 사용했을 때 두통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일부 약물의 일반적인 초기 부작용일 수 있습니다. 특히 베타차단제나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계열의 안약은 안압을 낮추는 과정에서 혈관 반응이 생겨 두통을 유발할 수 있어요대부분은 며칠 내에 증상이 완화되기도 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점점 심해진다면 약물이 체질에 맞지 않거나 다른 대체 약물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안과 전문의와 다시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두통이 있을 때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은 일반적으로 녹내장 치료 중에도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는 진통제입니다. 다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인 이부프로펜이나 나프록센은 일부 녹내장 유형(특히 폐쇄각 녹내장)에서 조심해야 할 수 있으므로 임의 복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물 관련 불편이 계속된다면 절대 참지 말고 반드시 담당 의사에게 말씀하세요.
Q. 소음순을 살짝 늘리면 이렇게 보이는데 이게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이미 성병검사, 조직검사 까지 다 하셨다면 소음순의 끝부분을 살짝 늘렸을 때 오돌토돌하게 보이는 것은 포다이스 반(Fordyce spots)일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포다이스 반은 일반적으로 무해한 피지선이 피부 표면에 나타나는 것으로, 대개 흰색이나 노란색의 작은 돌기처럼 보여요. 이는 음부와 같은 부위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피임약 복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은 없습니다.또한, 자궁경부암 관련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있었지만 조직검사 결과 문제가 없다고 하셨다면, 현재로서는 큰 우려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포다이스 반은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만약 다른 증상이나 불편함이 없다면 자연적인 현상으로 여겨지죠. 보다 더 정확한 진단을 위해선 산부인과나 피부과 방문하셔서 진료 봐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Q. 피부에 붉은점들이 생겼는데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붉은 점들이 피부에 생겼다면 몇 가지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사진에서 허벅지에 나타난 붉은 점들은 긁어서 생긴 상처나 자극에 의한 반응일 수 있습니다. 긁으면서 피부에 자극이나 염증이 발생해 작은 홍반이나 발진이 나타날 수 있어요. 이런 경우는 피부가 긁히고 염증이 생긴 후 회복되면서 점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반응이나 자극성 피부염이 원인일 수도 있으며, 건조한 피부나 습진도 관련이 있을 수 있죠두 번째 사진에서 팔 접히는 부분에 있는 붉은 점들은 알레르기성 발진, 습진, 또는 모세혈관 확장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팔꿈치나 팔 접히는 부분은 피부가 자주 움직이고 마찰을 받는 부위이기 때문에 자극이나 피부염이 생기기 쉬운 부위에요. 피부의 마찰이나 습기로 인해 접히는 부위에 발진이나 염증이 생길 수 있죠. 또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특정 제품에 대한 민감도 때문에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점들은 치료와 관리를 통해 호전될 수 있으며, 의사를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필요시 알레르기 테스트나 염증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