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알러지천식약때문에 수면 무호흡증이 올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알레르기 천식 치료제로 처방된 약들은 각각 효과적이지만, 일부는 수면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특히 베타작용제(밤벡정)는 심장 두근거림, 불안, 각성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고, 스테로이드(소론도정)는 일부 사람에게서 불면, 신경과민, 심박수 증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런 작용이 수면 중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깨뜨려 수면 중 각성반응이나 흠칫 놀람처럼 나타날 수 있죠말씀하신 "입이 닫힌 채 흠 하는 소리와 함께 깸" 현상은 수면무호흡증일 가능성도 있지만, 코막힘이나 기도 폐쇄 없이 이런 증상이 갑자기 약 복용 이후 발생했다면, 약제 부작용에 의한 수면 방해일 수 있습니다. 우선 약을 복용한 시각을 조절해보시고, 특히 밤벡정이나 소론도정 복용 시간을 아침으로 앞당기면 밤 수면에 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만 증상이 지속된다면, 처방해준 호흡기 내과나 이비인후과에 약 조정 상담을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약을 임의로 중단하지는 마시고, 불편한 수면 증상은 꼭 전달하세요.
Q. adhd는 무조건 부정적인 증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증상으로만 알려져 있지만, 반드시 "무조건 부정적인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ADHD는 주의력 부족, 충동성, 과잉행동 같은 특성으로 인해 일상생활, 대인관계, 학업·직업 수행에 어려움을 주기도 하지만, 창의성, 유연한 사고, 높은 에너지 수준, 위험 감수성 등이 장점으로 작용할 때도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아이디어를 빠르게 생각하거나 반복 업무보다는 변화와 도전이 많은 환경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죠다만 ADHD는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 있고, 방치되면 우울, 불안, 낮은 자존감, 충동적 행동, 직장, 가정 내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반드시 약물치료만이 정답은 아니며, 인지행동치료, 코칭, 생활 습관 조절 등을 병행하며 자신에게 맞는 관리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ADHD를 "고쳐야 하는 병"이라기보다는, 뇌의 작동 방식이 다른 하나의 특성으로 이해하고, 그 특성에 맞게 삶을 조율하는 접근이 바람직합니다.결국 ADHD를 부정적인 문제로만 보지 않고, 이해와 수용을 기반으로 한 자기관리와 환경 조정이 중요합니다
Q. 오늘 아침 변을봤는데 흑변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색깔이 부분적으로 흑색에 가깝긴 한데 저게 혈액으로 인한 건지 아닌지는 알지 못합니다. 기본적으로 사진으로는 물론이고, 육안으로 대변을 관찰한다 해도 잠혈(숨겨진 피)은 구분할 수 없습니다. 대변의 색이나 모양은 섭취한 음식, 소화 상태, 장내 환경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며, 음식물 찌꺼기나 색소 때문에 피처럼 보이는 경우도 많아요. 많이들 알려진 대로 철분제를 먹으면 또 흑색변이 나오기도 하구요. 따라서 대변 속에 실제로 피가 섞여 있더라도 소량이면 눈으로는 식별이 어렵고, 붉은 피가 흥건하거나, 짙은 흑색변처럼 특징적인 경우가 아닌 이상 정확한 판단이 어렵습니다.대변 속에 피가 섞였는지 확인하고 싶으시거나, 평소와 다른 대변 양상이 계속된다면 소화기 내과에 방문하셔서 '대변 잠혈 검사(FOBT)'나 필요 시 대장 내시경 등의 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특히 소화기 건강에 대한 불안이 있거나, 배변 습관 변화, 복통,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조기에 전문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Q. 저 축구를 하고나면 왼쪽다리가아픕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말씀하신 증상, 왼쪽 허벅지 뒤쪽, 엉덩이 뒤쪽, 발바닥, 무릎 위쪽 허벅지 바깥쪽의 통증은 좌골신경통(좌골신경 자극)이나 요추 추간판 탈출증(허리디스크)에서 흔히 보이는 양상입니다. 특히 통증이 엉덩이에서 다리 뒤쪽을 타고 내려가고, 오래 앉아 있으면 더 심해진다면 디스크 가능성이 있어요 이런 경우 허리에서 좌골신경이 눌려서 생기는 방사통일 수 있죠하지만 무릎 위쪽 허벅지 바깥쪽도 아프다면, 대퇴신경 또는 장경인대와 관련된 문제도 고려해야 합니다. 운동 후 악화되거나 특정 자세에서 심해진다면, 골반 비틀림, 햄스트링 또는 이상근(피리포미스) 증후군, 또는 단순 근육 염좌일 가능성도 있구요 만약 통증이 수주 이상 지속되거나, 저림, 감각 이상, 근력 약화가 동반된다면 MRI 촬영 등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우선은 무리한 운동을 중단하고, 허리 스트레칭과 휴식, 그리고 필요 시 신경외과나 정형외과 진료를 받아 보시는 게 좋습니다.
Q. 손마디에 사진좀봐주세요.이게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손마디에 짙은 갈색 착색과 피부가 두꺼워지는 증상은 몇 가지 원인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경우는 만성적인 마찰 또는 압력으로 인한 피부 각질화(태선화)입니다. 손을 많이 쓰거나 무거운 것을 자주 들거나, 책상 모서리에 손을 오래 대고 있거나 하면 그 부위가 자극을 받아 색소가 침착되고 피부가 두꺼워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특별히 간지럽거나 통증이 없어도 외관상 변화가 서서히 진행될 수 있어요또한, 당뇨병이나 갑상선 이상, 아토피 병력이 있는 경우 손가락 마디에 이차성 피부 변화가 생기기도 합니다. 색소침착 외에 피부가 갈라지거나, 손톱 변화 등이 동반된다면 전신질환의 한 징후일 수 있으니 병원에서 확인이 필요합니다. 만일 흑색종처럼 색이 진하고 비대칭적인 변화가 생긴다면 피부암 감별도 필요하므로, 가까운 피부과에서 진찰과 피부확대경 진단을 받아보시길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