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어깨를 통증이 있으면 어떤 병원을 가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설명해주신 증상—어깨 회전 시 통증, 팔을 들 때 통증—은 홈트레이닝으로 인한 회전근개 손상(특히 극상근), 어깨 충돌 증후군(impingement syndrome), 혹은 어깨의 과사용으로 인한 염증성 질환(건염, 활액낭염 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특히 프런트 Y레이즈, W레이즈 등은 어깨 전면과 회전근개 근육에 지속적 부하를 주기 때문에, 폼이 조금만 틀어져도 미세 손상이 누적되기 쉬워요. 어깨의 관절 구조는 좁고 민감하기 때문에 통증을 방치하면 점차 만성화되거나, 근육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그여이러한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정형외과(특히 어깨 관절 전문)를 우선적으로 방문하시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정형외과에서는 엑스레이, 필요 시 초음파나 MRI를 통해 건·근육 손상 여부, 염증 유무, 관절 구조 이상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운동 중지 외에도 필요한 경우 물리치료나 주사 치료, 약물 처방까지 가능해 치료 접근 폭이 넓어요. 단순한 통증 조절보다는 정확한 진단과 원인 파악이 우선이기 때문에, 통증의학과보다는 정형외과를 먼저 가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통증이 시작된 지 한 달 이상 경과했고, 특정 방향에서 반복되는 통증이 있다면 단순한 근육통이 아니라 구조적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병원 진료 전까지는 어깨 운동은 일시 중단하고, 찜질(온찜질 또는 냉찜질), 스트레칭 자제, 진통소염제 복용(필요 시) 등으로 염증을 가라앉히는 것이 좋습니다
Q. 귀두에 뭔가 났어요.. 혹시 성병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귀두 주변에 오돌토돌하게 보이는 돌기나 뾰루지 형태의 변화는 반드시 성병(성감염증)은 아닙니다. 사진이 확인되지 않는 상태에서 설명만으로 판단하면, 정상적인 진주양 구진(pearly penile papules)이거나 피지선 돌기(Fordyce spots)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정상적인 해부학적 변형이며, 통증이나 분비물, 궤양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치료가 필요 없는 정상 구조물들이에요하지만 만약 최근 성관계 이력이 있고, 그 이후 물집, 진물, 궤양, 통증, 가려움 등이 발생했다면 헤르페스, 곤지름(HPV), 매독 초기병변 등의 성병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초기엔 저런 모양으로 나타날수 있고 사실 형태가 다양해서 단순 육안 관찰로 찾긴 어려워요특히 단일 뾰루지가 커지거나 진물, 통증을 동반한다면 단순한 피부 문제를 넘는 감염성 병변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증상이 심해지거나 지속된다면 비뇨기과나 피부과 진료를 통해 정확한 육안 진단과 필요 시 검체 검사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Q. 혹시 밑에 있는 검은부분 염증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상처 부위가 검게 보인다고 해서 반드시 염증인 것은 아닙니다. 넘어지면서 까진 상처가 검게 보일 경우, 마른 피딱지(혈흔이 굳은 것)이거나, 상처 속 이물질(예: 흙, 아스팔트 찌꺼기 등)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산화수소로 소독하고 밴드를 붙였다면 기본적인 응급 처치는 잘 하신 것으로 보여요. 하지만 만약 검은 부위 주변이 붉게 부어오르거나, 통증이 점점 심해지거나, 진물·고름, 열감이 동반된다면 염증이나 감염이 진행 중일 수 있으므로 피부과나 외과 진료가 필요합니다.염증이 아닐 경우 며칠 내로 딱지가 생기며 건조해지고, 주변 피부가 점점 나아지는 경과를 보입니다. 하지만 검은 부위가 딱지가 아니라 물렁하고 눌렀을 때 아프거나, 악취가 난다면 괴사성 조직일 가능성도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관절약(스테로이드계일 가능성)이나 혈압약을 복용 중이면 상처 회복이 느릴 수 있고, 감염에 더 취약할 수 있으므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해요가능하면 하루 1~2회 미온수로 씻고, 항생제 연고(예: 후시딘) 도포 후 거즈로 덮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Q. 의사선생님들 제 가슴 중앙에 뭐가 잔뜩 올라와있는데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말씀하신 증상, 가슴 중앙, 대흉근 주변에 다수의 돌출된 피부 병변은 성병보다는 피부과적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최근 스트레스, 피로, 면역 저하 상태였다면, 모낭염, 여드름(여드름성 발진), 지루성 피부염, 땀띠, 또는 피부 자극 반응(알레르기나 마찰)일 수 있구요모낭염은 흔히 땀, 마찰, 면도, 샤워 후 습한 환경에서 발생하며,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더 잘 생기고 작은 붉은 돌기나 고름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림프절 비대나 성병(예: 매독, HIV) 관련 피부 병변은 일반적으로 사타구니, 목, 겨드랑이처럼 림프절이 풍부한 부위에 나타나며, 단순한 가슴 중앙 피부 병변만으로 의심하긴 어렵습니다. 최근 성관계 이력이 없고, 전신 증상(발열, 체중 감소, 심한 피로 등)이 없다면 성병 가능성은 낮아 보여요세균 감염성 모낭염일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좋아질 수도 있지만, 고름이 잡히거나 병변이 확대되면 피부과에서 항생제 연고 또는 내복약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증상이 계속되거나 가려움, 통증, 열감, 악화 등이 있다면 피부과 내원이 권장됩니다.
Q. 혹시 콩팥에 있는 혹이 파열된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왼쪽 콩팥에 10cm 이상의 혹(낭종이나 종양 등)이 있고, 최근 갈색뇨에서 선홍색 혈뇨로 변화하며 골반통까지 심해졌다면, 혹이 파열되었거나 출혈이 동반된 가능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선홍색 소변은 요로 상부(신장 또는 요관) 출혈을 시사하며, 단순한 소변 색 변화보다 더 주의가 필요해요혹이 파열되었을 경우 복막 내 출혈이나 요로계 손상을 유발할 수 있고, 감염이나 쇼크 같은 합병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통증이 경미하더라도 경과 관찰만으로 넘기기엔 위험할 수 있습니다.진료까지 이틀이 남았다면, 상태가 급변하지 않더라도 오늘 내일 중에 비뇨기과 응급 진료를 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혈뇨가 많아지거나, 통증이 급격히 악화되거나, 열, 오한, 구역감,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현재처럼 혹이 의심되는 상태에서는 척추 추나 치료 중 허리 압박이 혹에 물리적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이 안전해요안전을 위해 통증이 가라앉고 진단이 명확해질 때까지 추나는 잠시 쉬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