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함께 배워 나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함께 배워 나가요.

손국현 전문가
크라운제과
Q.  물고기를 옮기다가 고기가 30cm높이에서 떨어졋습니다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안타깝습니다. 부레가 터져버리다니요.... 이제 살날이 얼마 남지 않은것같습니다. 그런데 , 질문자님은 어떤 질문을 한건지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애완물고기인가요? 아니면 파시려는 물고기신가요...아니면 그냥 낚시하다가 떨구신건가요? 원래 드시려고 하신건가요? 죄송합니다만,,, 제가 함부로 얘기하기에 좀 어려운부분이 있어서 그냥 저는 섭취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말씀드립니다. 부레가 터졌으면 빨리, 물고기를 처리하셔야합니다. 신선도도 떨어지기 때문에 상업성도 없어지고 점차 맛도 없어집니다. 1. 우선 부레를 빨리 제거합니다. 2. 부레제거 후 배를 갈라내어 내장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줍니다. 내장의 맛은 좋지 않습니다. 3. 그리고 피를 빼내어주고 점액을 씻어냅니다. 4. 살점을 분리해줍니다. 필렛작업인데, 터진부레를 잘 분리해줍니다. 5. 이렇게 분리된 살점, 필렛은 바로 요리하여 드시거나 냉장, 냉동 보관하도록 합니다. 애완용이라고 하시면,,, 위처럼 해체작업없이 얼른 양지바른곳에 묻어주시기 바라고 그것이 아니면 빨리 조치하여 맛있게 드시길 바랍니다.
Q.  중국 연구진이 줄기세포를 사용해 제1형 당뇨병 환자를 치료 했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우선 당뇨병 종류를 보면요. 1형당뇨병 : 췌장에서 인슐린생산세포를 자가면역세포가 파괴하여 인슐린을 거의, 전부 생산하지 못하는 상태 유아, 청소년기에 선천적 발병이 많으며 인슐린주사가 필수2형당뇨병 : 인체가 인슐린저항성이 있어서 인슐린의 제역할을 못하는 상태거나, 인슐린 분비가 미약한 상태 주로 성인발병으로 , 비만, 운동부족, 유전적요인이 되지만 주로 후천적인 것이 많음 증상은 1형과 비슷하나 서서히 진행되는 점이 무서움3형 당뇨병 : 임신중에 주로 발생, 임신성 당뇨로 알려짐 출산 후 원상태로 돌아가지면 , 그렇지 않으면 2형 당뇨병으로 진행됨 먼저 설명드렸던 1형 당뇨병은 아예 인슐린 생산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는 예초에 췌장의 기능을 상실한 것인데 이를 되살려 인슐린을 분비시키는 수술을 한건데요. 환자의 췌도에서 추출한 세포를 유도만능줄기세포 iPS 로 만든다음에 이것을 환자의 복부에 이식하였습니다. 치료절차입니다. 1. 25세의 여성환자는 자가면역반응으로 인해 췌장의 인슐린분비기능이 마비된 상태의 당뇨병을 앓음 2. 환자 췌도에서 추출한 세포를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든 후 췌도 세포 150만개의 입체조직을 만들어 이식 3. 75일 이후 스스로 인슐린 생산이 시작되어 정상 혈당수치를 유지하고 있음질문하신 유도만능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sells, iPSCs 는 성체의 체세포를 특정 유전자를사용하여다시 분화되기전, 미분화상태로 되돌린 줄기세포입니다. 2006년 일본의 신야교수와 타카하시 박사에 의해 개발되었고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12년에 노벨생리의학상을수상하였습니다. 이 줄기세포의 특성과 응용입니다.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하게 신체의 거의 모든 세포로 분화가 가능합니다.윤리적인 이점이 있습니다. 배아를 파괴하여 얻는 배아줄기세포와는 다르게 체세포를 이용하기 때문입니다.환자자체의 체세포를 이용하기 때문에 면역적으로 거부반응이 없습니다. 질병모델링 활용 : 특정 환자의 질병의 세포를 이용하여 질병 메커니즘을 분석약물의 테스트 : 특정사람에게 테스트하는게 아닌 줄기세포를 활용하여 효능과 안정성을 볼 수 있음재생의학의 관점: 손상된 조직과 장기를 대체할 수 있음기존의 배아세포를 이용한 줄기세포가 논란이 된적이 있었지요... 황..교수님 그때와 다르게 윤리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다양한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앞으로 우리 사람의 수명이 더욱 연장될 수 있는 그런 중요한 과정에 있습니다.
Q.  왜가리가 사다새목이라고 하던데 사다새목은 어떤 특징으로 분류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왜가리의 분류를 보면요. 왜가리 학명 Ardea cinerea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사다새목 백로과 왜가리속 왜가리 사다새목의 특성은 생활반경이 주로 뭍, 물가인 조류입니다. 긴 다리와 긴 목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곳에서 먹이를 찾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고기와 곤충은 기본이고, 개구리같은 양서류나, 자라같은 갑각류를 주로 먹이로 삼으며 간혹 작은 파충류(뱀)나 포유류(쥐)까지도 꿀꺽합니다. 긴다리, 긴 목 - 물속에서 먹이찾고 잡기에 적합날개 - 넓은 날개로 장거리 비행서식처-높은나무나 절벽의 둥지행동 - 집단생활 및 번식사다새목의 새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황새 , 왜가리, 백로 , 가마우지 가 가장흔한 것들입니다. 비슷비슷하게 생겼습니다.
Q.  수정이 끝난 꽃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식물의 수정은 암술의 화분이 수술로 이동하여서 수정이 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같은 꽃이나 다른 식물의 다른꽃에서 꽃가루가 암술의 머리로 이동되는 "자가수분", 다른개체의 식물의 꽃에서 꽃가루가 암술머리로 옮겨지는 "타가수분"으로 이루어집니다. 아시다시피 타가수분은, 바람이나 나비,벌 같은 곤충들, 또는 물에 의하여 이동, 수정 됩니다. 수정이 된 꽃은 죽습니다. 역할을 다한것이죠. 1. 꽃잎 탈락, 꽃받침 탈락 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더이상 쓸모가 없어집니다. 2. 그리고 그 자리에 수정된 난자는 씨앗의 배의 형태가 되고 씨방이 형성됩니다. 3. 씨앗을감싸는형태의 씨방은 흔히들 열매라고 하는 형태가 됩니다. - 열매는 씨앗을 보호하는 역할 - 초기 씨앗이 자라는데 영양분의 역할 - 씨앗을 퍼트리는 역할 (씨방은 열매로써 , 영양분으로써주역할을하며 동물의 먹이가되면서 이동) 대부분의 식물은 이러한 과정을 거칩니다. 열매가 되는 과정에서 수정의 역할을 할 뿐인 꽃은 떨어져서 자연의 품으로 돌아가서 식물의 영양분이됩니다. 이제 가을이 다다릅니다. 많은 과실들의 꽃들이 맺히고 저물면서 이제 겨울을 준비합니다.
Q.  화단에 키운 실파 노란 애벌레 정체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아주작은 유충단계라서 구분하기 좀 어려울것같아요, 파처럼 재배하는 작물에서 볼수 있는 곤충들은 나방이나 나비 애벌레일 가능성이 있는데, 특히 노란색인걸 보면은 노랑나비 애벌레가 아닌가 추정해봅니다. 정확한 환경은 잘 모르겠지만, 파에서 발생했다고 가정하면 파밤나방의 유충일수도 있겠습니다~ 파 잎파리를 갉아 먹는다고 하네요. 냉장고 안에서는 금방 죽을테니 너무 걱정하진 마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면 화가나실수 있겠지만,, 먹어도 탈이나지는 않습니다^^;;하지만 육안으로 보았을때 혐오감을 줄 수 있으니 잘 씻어서 제거하시면 전~ 혀 문제 없을거에요. 굳이 식초물에 담가서 처리할 정도는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오히려 식초때문에 파가 손상될까 우려됩니다 .
5152535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