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함께 배워 나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함께 배워 나가요.

손국현 전문가
크라운제과
Q.  곤충 중 가장 지적 능력이 뛰어난 곤충은?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개미로 알려져 있습니다. 개미는 인간과 유사한 사회구조를 가지고 협력도하며, 분업, 정보 교환등의 행위나 행동을 보입니다. 길찾는데도 무리가 없으며, 먹이위치를 동료로 알리는 것. 집단협력으로 큰 먹이를 옮기는 것 등을 보면 , 굉장히 높은 인지 능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꿀벌 역시 지능적인데 특히 자신들만의 춤을 통해서 다른 벌들에게 먹이의 위치를 알려주는 벌춤이 유명합니다. 복잡하고 견고한 벌집을 형성하며 계절을 견디고 거기에 맞는 역할을 정하여 실시합니다. 무당벌레나 바퀴벌레도 지능이 높은편입니다.
Q.  생명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이 영생을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우리의 모든세포는 노화를 거칩니다. 노화를 거친다는 것은 여러의미가 있습니다. 우리의 모든 세포는 분열을 합니다. 분열을 함으로써 새로운 세포가 생겨나고 기존의 세포를 대체합니다. 세포는 조직을 이루고 조직은 그에 맞는 기능을 하게 됩니다. 근육이 될 수도, 뼈가 될수도, 아니면 다른 액체의 성분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 세포의 분열은 내부 유전자, Deoxyribonucleic acid , 약어로 DNA의 생명정보가 복제되어 이루어집니다. 이것은 유전정보를 지니고 있는 화학물질로 볼 수 있는데 , 흔히들 이중나선구조를 가진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DNA는 액틴단백질과 일부 당과 엮여서 구형형태로 꼬여있습니다. 이런 굵직한 구조체인 염색체가 바로 우리의 유전정보인 것이지요. 유전정보는 복제하는 과정에서 오류도 있을수 있고, 손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더구나 유전정보가 있는(확인된) 염기서열보다 더미데이터가 더 많이 있다고 하는데 많은 연구를 통해 이 더미데이터 , 즉 유전체 말단의 DNA가 분열마다 짧아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따라 실제 유전자서열까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것 역시 노화로 부르고 있습니다. 십장생으로 유명한 바다거북의 유전체는 인간과 매우 다른 특성을 가집니다. 그것은 바로 복제시 손상된 부분이 다시 복구되는 것이지요. 혹은 다시 자라난다고 하네요. 우리 인간의 뇌신경세포는 특정시기가 지나면 다시 회복되지 않지만, 이 생명체는 끊임없이 새로운 세포를 만들어내며 치매도 걸리지 않는 것이죠. 하지만 세포가 죽지 않는 것은 역으로 말하믄 무분별하게 자랄수있음을 뜻합니다. 우리의 암은 양성종양과, 무작이적으로 자라나는 악성종양이 있는 것처럼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글쓴이님이 말씀하신대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점점현실성이 있게 바뀌어가고 있습니다.
Q.  원숭이와 고릴라는 지적 능력이 비슷한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우선 지적 능력을 말씀하셨는데 지적 능력 중 어떤 능력을 말씀하셨는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요, 이것을 수치화 한 것은 IQ 가 있겠습니다. 고릴라나 원숭이나 특출난 경우나 예시가 있기는 하지만 , 로랜드 고릴라의 경우 65~70 정도입니다. 오랑우탄도 비슷한 수준이며, 침팬지 역시 특별한 경우 이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납니다. 120까지 나온 기록도 있습니다. 지적능력을 아이큐로 환산하면 이정도이지만 지적능력을 여러가지 기준으로 본다면 지능이 높은 동물들은 많이 있습니다. 큰돌고래병코돌고래가 지능높은 돌고래로 유명합니다. 쉽게 훈련이 되는 큰돌고래는 돌고래중 뇌 크기가 가장 크며 경추 없이 머리로 인간과 같은 고개를 끄덕이는동작을 하는 고래입니다. 쉽게 훈련을 할수 있을 정도로 학습이 좋고 거울의 자신의 모습을 인식합니다. 텔레비젼의 이미지도 인식하고 기억한다고 하네요. 몇십년동안 헤어진 짝의 모습도 기억을 해냅니다.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소통이 가능하단 점인데 다른 종의 돌고래와도 의사소통을 위한 공통언어를 지니고있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인간이나 다른 종, 고래 등과 협력하여 사냥도 하기 때문에 지능이 높은 동물이라고 알려져있습니다.침팬지인간과 유전적으로 가장 유사한 침팬지는 98%나 비슷합니다. 도구를 아주 잘 다루며, 필요한 것을 얻기위한 새로운 도구를 만들기도 하구요, 가족내 작업을 할때 지시하거나 조종한다고 합니다. 사회적인 구성을 하고 가족단위에서 어린 침팬지에게 수화를 가르치는 모습이 목격되었습니다. 스스로 이런 행동을 하는 것 자체가 지적능력이 높다는 반증이겠지요코끼리기억력이 상당하다고 합니다. 조금은 복잡한 사회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인간과는 다소 다르지만 장례의식을 하고 애도하는 모습이 보여졌고, 간혹 도구를 사용하거나, 아프거나할때 스스로 아픔이나 질병을 어느정도 치료하기도 합니다. 다소 이타적인모습을 보이는 극소수의 착한 동물로, 필요시 자신을 희생하기도 합니다. 문어무척추동물중에 지능이 높은 것으로는 유일합니다. 무언가 문제해결을 위한 고차원적인 시도나 계획을 세워 진행합니다. 수조 탈출을 위해서 반복적인 물을 뿌린다거나, 돌을 던지는 행동, 그리고 음료의 뚜껑을 열기도 합니다. 또한 어떤 종은 바위나 근처의 생물을 모방하여 돌아다니거나 숨습니다. 장기기억과 단기 기억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고 하네요. 돼지똒똒한 동물로서 개보다 지능이 높습니다. 그것도 훨씬. 의사소통을 위한 20여가지의 다양한 소리를 가지고 있고 노래도 부른다고 하네요. 동물에서 흔치않는 감정적이거나 공감적인 모습을 보인다고 합니다. 까마귀 까마귀는 기억력이 좋고 스스로 언어를 배웁니다. 특정 사물의 반복적인 행동을 기억하고 그것을 응용하여 이용합니다. 조류중에서 가장큰 뇌를 가진 까마귀는 인간의 얼굴도 인식합니다. 도구를 사용하기도 하는 조류이며, 칼을 만드는 뉴칼레도니아 까마귀는 유명합니다. 몇가지 특별하면서도 인간처럼 행동하는 지적능력이 높은 동물들을 같이 열거해보았습니다.
Q.  이 벌레가 무슨 벌레인지 아시는분 계실까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사진으로 확인이 좀 어렵긴하지만, 먼지다듬이로 보입니다. 뭉툭한 체형에 짧고 넓은편이고 피부가 연합니다. 0.5~10MM로 대체적으로 작은 편입니다. 큰턱이 있는데 좌우가 상이한 경우가 많습니다. 흰개미와 비슷비슷, 형태적으로도 비슷하지만 겹눈이 퇴화된 흰개미와는 쉽게 구별이 가능합니다. 약충이나 성충은 대부분 식물이나 나무껍질, 줄기, 돌표면, 돌밑에서도 발견되고 , 집엔 실내에서도 발견되기도 합니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몇몇의 종은 고온다습의 환경을 선호하기 때문에 이 같은 환경에서 번식이 가능한 집안의 낡은 곳의 곰팡이를 영양소로써 먹이로써 섭취하게 됩니다. 집단생활을 하는 종이 많습니다. 하지만 인간에게 직접적인 해를 주지는 않는다고 되어있지만, 개체수가 급격히 는다면 불쾌 및 혐오감을 줄 수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위에 언급했다시피 고온다습환경을 좋아하기 때문에 습도와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폐지나 곰팡이가 생긴벽지, 식빵 등의 곰팡이 등이 있는 곳은 무조건 버리고 청소를 하셔야 합니다. 제습기를 적극 활용하시면 먼지다듬이가 보이는 경우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정안된다면 잔류성 살충제 등을 이용하여 퇴치하면 되므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잔류성이라함은 , 성분이 그 자리에 남아서 오랫동안 효과를 지속한다는 점입니다. 전문가를 통한사용을 권유드립니다. 이 밖에 훈증의 방법이 있지만 이는 대규모 사업장 등에 필요한 방법이니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Q.  날벌레들은 뭘먹고 사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작은 날벌레, 초파리나 하루살이는 액체형태로 먹이를 먹습니다. 입, 주둥이를 빨대처럼 빨아들이거나 흡입하는 방식입니다. 초파리 먹이는 과일, 발효되거나 썩어가는 과즙이 되겠습니다. 과일의 당분을 주 영양원으로 흡입하는 것이죠. 초파리 주둥이는 입 주변에 있는 관형기관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액체를 빨아들입니다. 아주작은 날벌레중 하나인 하루살이는 주로 물속의 유기물이나 부유하는 생물들을 먹습니다. 종류에따라 다르지만 식물성플랑크톤, 균 등을 먹기도 합니다. 물속에서의 유기물을 걸러내어 빨아먹는 식으로 미생물등을 섭취하여 영양소를 획득합니다. 모든 섭취 목적은 생존과 번식을 위한 에너지를 얻고자 함이며, 우리 주위에서 날라다니는 것들은 보통 짝짓기를 위한 짝을 찾은 배부른 자의 몸부림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