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연봉인상률이 낮다면 dc형으로 바로 전환하는게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보통 연봉인상률로 판단을 할 때는,인상률이 높다면 DB를 선택, 인상률이 낮다면 DC를 선택하는 것이 좋은 편입니다.DB는 결국 최종 임금이 중요한데, 임금인상이 낮다면 불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이에 DC를 선택한 뒤, 투자 운용을 잘해보는 것도 매력있습니다.다만, 어느정도 위험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말씀하신 것처럼 리스크 관리는 신경써야 하는 부분입니다.
Q. 노란봉투법이궁금합니다 구체적으로설명이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이번 노란봉투법의 핵심만 쉽게 말씀드리자면, 노동자의 단결권과 파업권을 강화, 사용자와 노동자 간 균형을 맞추는 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노동자의 파업권을 보장(기업이 청구하던 손해배상액이 크게 제한됩니다)하고,단체교섭이 활성화되는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반대로 기업의 입장에서는 경영활동이 위축되고, 과도한 파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야기된다는 우려는 있습니다.
Q. 청년층 1인 가구의 증가가 새로운 소비 시장을 형성하는 과정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1인가구의 증가로 인해서 이미 많은 시장의 변화가 있었습니다.기본적으로 의식주 중 식과 주에 대한 변화가 체감되는데요.기존 다가구와는 달리 배달문화와 1인가구를 위한 음식들이 많이 발달했고,한때는 밀키트, 반조리 식품이 크게 성장하고 떠오르기도 했었습니다.현재는 배달어플만 봐도 1인가구 전용 탭이 따로 있기도 합니다.또, 주거형태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소형 오피스텔이나 원룸을 많이 찾아볼 수 있고,그들을 위한 용품, 가구들도 많이 제작 및 형성되고 있습니다.예전에는 생각하지 못한 소형평수를 위한 가전/가구가 엄청난 수요를 맞이하게 된 것입니다.
Q. 배당금을 주기마다 주는 기업과 아닌 기업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보통 기업의 마인드 차이, 성장단계의 차이 등이 있습니다.배당을 주는 기업은 보통 어느정도 잘 성장을 했고,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가진 경우가 많습니다.이에 우리는 안정적이라 주주환원을 적극적으로 한다는 시그널로 배당을 주는 것입니다.반대로 배당을 주지 않는 기업의 경우에는,막 성장하는 기업으로 현금을 확보해도 이를 회사에 투자해 기업 가치를 올리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그래서 대부분의 성장하는 빅테크들은 배당보다는 재투자를 택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