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트럼프가 미국에 반도체 공장 안 지으면 100% 관세 얹겠다고 해요, 실무에서 체감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트럼프의 관세정책은 현재 큰 위기가 있으며 반도체의 경우 아직 품목별관세나 상호관세 부과대상이 아니지만 곧 반도체 관세율이 발표될 전망입니다.다만 우리나라의 삼성전자나 sk 하이닉스는 약간의 안정권에 있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https://news.jtbc.co.kr/article/NB12261780실무적으로는 미국 내 관세 규제 동향 모니터링 강화, 투자계획 조기 수립, 관세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법률/세무 자문 활용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수출 거래 시 안전하게 거래를 진행하면서 분쟁을 예방할 수 있는 실무 팁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말씀하신대로 무역계약에서는 계약의 성립/이행/종료 단계에서 상당히 많은 부분을 신경써야 합니다.수출계약시에는 분쟁예방을 위해 계약서에 구체적이고 명확한 조건을 상세히 명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조건들은 품질, 수량, 가격 등에 관한 것입니다.다만, 이러한 내용을 모두 설명드리기에는 너무나도 검토할 내용이 많아 필요하시다면 무역실무에 관한 책을 한권 구매하셔서 업무에 활용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캐나다 서비스업 PMI까지 관세 때문에 떨어졌다고 하던데, 한국 수출에도 비슷한 흐름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미국의 관세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은 결국 전세계의 여러 지수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지며, 관세정책은 물품에 관한 부분이지만 경기둔화적인 측면에서는 IT, 콘텐츠 등 산업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국내 기업들 또한 상황이 비슷할 수 있으며, 이는 제조업이 가장 큰 영향이겠지만, 서비스 문화 분야 등까지 리스크가 확산될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Q. 한국 디지털 규제 강화에 미국이 관세 위협했다는데, 실무에선 대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디지털 규제에 대한 부분이 우리나라에 대한 이슈가 발생하는 상화응로 보입니다.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90423211994706실제 우리나라가 수출을 진행하고 있는 경우라면 관세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해야 합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원산지 또는 품목분류 등에 대한 사전심사제도 활용, 미국향 수출 공급망 유연성 강화, 미국내 생산 등의 전략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