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내과 전문의 이성민 입니다.
안녕하세요. 내과 전문의 이성민 입니다.
이성민 전문가
서울안녕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1월 3일 작성 됨
Q.
위축성 위염 진단 받았는데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성민 내과 전문의입니다.위축성 위염은 만성 위염이 점막에 있어 위표면이 얇아진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증상도 없고, 딱히 약물이 없습니다. 다만, 음주/흡연/비만/고령/짜거나 매운 식습관/헬리코박터균 감염이 위험인자이기 때문에 상기 위험인자를 조절해야합니다.
내과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작년 1월 충수염 수술 후, 맹장 쪽을 누르면 아직도 아픈데 괜찮은 건가요?
충수염이 있었고, 수술로 인해 충수염이 치료되지 않았다면 수술 후 몇일 이내로 이상소견을 보여야 합니다. 지금은 몇 개월이 지난 상태이므로 충수염의 수술이 잘못되었을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아마도, 수술 후 주위 장기와 복막의 유착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병원에 굳이 가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내과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검은변인지 혈변인지 정상변인지 모르겠어요 봐주세요 ㅜㅜㅜ
혈변은 아닌 것 같습니다. 검은 변의 경우 보통 상부 소화관 출혈을 의미하는데요. 보통 '짜장면 소스'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상기 사진은 그런 것보다는 그냥 갈색의 찐득한 무른변 같습니다.
내과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위,대장 내시경 전에 이 약들 복용해도 괜찮나요?
별다른 문제는 없어보입니다. 용종절제 시 반드시 피해야하는 약은 항혈전제, 항응고제입니다. 이 약들은 시술 후 출혈을 악화 시킬 수 있는 약입니다. 드시는 약은 단순 감기약, 위장관 운동 조절제, 항생제이므로 시술에 별다른 영향은 없습니다.
내과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두통 구토 발열이 없는 장염이 있나요?
가능합니다. 장염은 다양한 스펙트럼의 증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설사, 복통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에 열이나, 근육통등 전신증상을 동반합니다. 녹색변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말단 회장 부위 담즙을 흡수하는 부위에 염증이 생겨 담즙의 재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녹색변이 나온 것으로 추정 할 수 있습니다.
내과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대변을 봤을 때 피가 같이 나오는경우 신체의 어디부분이 잘못된건가요?
대변 시 피가 같이 나왔다면 소장~항문까지 모든 소화기 내장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보통 항문 주위에 치질이나, 치열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나이에 따라 원인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현재 36세라면 암일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여 암 혹은 암 외에 다른 원인을 찾는 노력은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내과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복통없는 설사 항생제때문일 수 있나요??
둘다 베타락탐계열의 항생제 입니다. 이런 베타락탐계열의 항생제는 복용을 하게 되면 부작용으로 설사가 나올 수 있습니다. 보통 병원성을 띄지는 않습니다. 너무 지속된다면 유산균을 함께 복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점액변에 대한 궁금한 질문이 있습니다.
점액변에서 의심할 수 있는 것은 가성막 대장염입니다. 피부에 피부 상재균이라고 하는 병원성을 띄지 않는 균이 살고 있듯, 대장에서도 여러 세균들이 살고 있는데요. 평소에는 이 균들이 서로 조화롭게 살아서 병원성을 띄고 있지 않다가, 다른 외부 충격(항생제, 위산억제제 등)에 의해서 조화가 깨지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떤 하나의 균이 득세하게 될 수 있는데 그럴 때 병원성을 띌 수 있습니다. Clostridium difficile 라는 균이 그럴 때 가성막 대장염이라는 것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병에 대한 진단은 대장내시경, 변내 세균 항체 검사 혹은 배양검사 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전신 소양감이 느껴집니다. 어디서 검사를 받아봐야하나요?
두드러기 같은데요. 두드러기는 이완 기간에 따라 급성인지, 만성인지로 구별하게 됩니다. 6주 이상인 경우 만성 두드러기라고 하고, 원인이 될만한 검사들을 진행합니다. 보통 많이 하는 검사는 혈액검사인데요. 류마티스 질환, 갑상선 질환, 종양성 질환이 있는 경우 2차적으로 두드러기가 나타날 수 있어 관련 검사를 하고, MAST라는 항원검사들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5월 24일 작성 됨
Q.
B형간염예방접종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3차까지 다 맞은 후 양양성(weak positive)가 되었다면 추가로 한번만 더 맞으시면 됩니다. 항체 역가가 떨어져서 그런 것인데 한번 더 맞으면 항체가 활성이 되어 있습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