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고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CPI가 안정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트럼프의 고관세정책과 미국의 대형화재의 여파, 그리고 계란값 파동등
여러가지 문제들이 있었지만
오늘 발표된 cpi수치는 오히려 안정적인 수치가 나왔습니다
트럼프의 공격적인 경제정책에도 불구하고
CPI가 안정적으로 나올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고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안정적인 수치를 보인 데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작용했습니다. 우선, 관세 부과로 인해 수입품 가격이 상승했지만, 기업들이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 노력을 통해 이러한 비용 증가를 소비자 가격에 완전히 전가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일부 기업은 가격 인상 대신 이윤을 줄이는 방식을 선택하여 소비자 가격 안정에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의 대응으로 인해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었습니다. 게다가, 미국 내 소비 수요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가격 상승 압력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cpi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고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CPI가 안정될 수 있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고관세 정책이 실제 경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의 공격적인 관세정책 관련 물가는 2월 조사에 반영된 것이 아닙니다. 3월 CPI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cpi가 예상치를 하회한 것은 분명 긍정적인 상황이라 물가 상승이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반대로 경기 침체로 인해 시장 경기가 악화되고 있다는 신호일 수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닐 수 있습니다. 관세전쟁으로 인플레이션이 예상되었으나 오히려 경기침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정부의 고관세 정책으로 인한 물가 상승분은 아직 시장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그동안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 기조로 인해서 수요 측면의 인플레이션이 영향을 덜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에너지 및 원자재 가격 안정세도 소비자물가지수의 예상 대비 하회하는데 일조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오늘 발표한 미국 2월 cpi 는 말그대로 2월 물가상승률을 발표한거라 관세정책이랑은 무관합니다
4월에 예정대로 관세정책을 실시하면 5월 cpi 정도에 확실하게 물가가 오르긴 할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계란가격이 1월에 15프로 상승했지만 2월에 10프로 상승으로 상승률이 둔화되었습니다
사실 계란가격이 cpi 에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서 더 오른다고 해도 크게 영향이 없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