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세 계약 시 계약금 무조건 줘야 하나요?
존슨하고 월세 계약시 계약금을 무조건 미리 주어야 하는지 궁금하네요 계약금을 미리 줘야 한다면 보증금에 몇 % 라든가 이런 규정이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금을 미리 주는것은 세입자를 잘 내보나는데 관례화된 내용으로 꼭 줘야 할 의무는 없습니다.
다만, 우리나라는 전세라는 제도가 있어 전세는 금액이 크기때문에 나가는 세입자에게 계약금(10% 수준) 정도를 미리 주는게 관례화된 부분이 있습니다.
다음세입자에게 받은 계약금을 그대로 돌려주는게 가장 일반적입니다.
월세의 경우는 미리 주는 경우가 많지는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금의 경우 당사자간 합의로 정하시면 되나 , 실무상 계약금액의 10%을 계약금으로 많이들 합니다. 그리고 계약금게약은 계약금이 지급되어야 성립되기 때문에 당연 지급하여야 되는 부분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계약에서 계약금은 위약금으로도 작용합니다
일방이 계약을 파기하였을 때 계약금을 포기하거나 이 금액을 기준으로 배액배상하는 금액이 위약금입니다
따라서 계약금이 없다면 계약을 담보할 수 있는 금액이 없으므로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쌍방이 확실히 신뢰한다면 불가능한 것은 아니겠지만 현실에서는 보증금의 10~5%를 일반적인 형태의 계약금으로 보고 있습니다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차계약서 작성시 계약금은 보증금액의 10%를 지불합니다. 통상 10%를 지불하지만 임대인과 임차인이
협의하면 계약금액은 조정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금을 미리 무조건 주어야 한다는 법은 없습니다.
통상 계약서 작성하며 도장찍고 계약금을 주고 받습니다. 계약금은 통상 거래대금의 10% 로 하지만 보증금에 몇 % 라는 정해놓은 법도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서를 작성하실때는 협의로 계약금을 받는데 보통 5%에서 10%로는 받습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잔금으로 처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금은 미리주는 것이 아니고 계약시에 계약서를 작성하고 주는것입니다.
법적인 것은 없고 통념상 10%를 가장 많이 주고 받습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금의 경우는 통상적으로 10%를 의미합니다만 협의에 따라 잘라질수는 있습니다. 기준은 10%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