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용어 중 '상계월수'가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요?
국민 연금 추가 불입을 할 때, 상계월수를 고려해서 하라고 하는데요. 상계월수가 무엇을 뜻하는 말인가요? 왜 상계월수를 고려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일전에 용어 질문으로 도배하던 분이 안보이고 있던데
일단 보험에서 위 단어는 쓰질 않습니다.
국민연금공단에 문의 하면 자세한 설명을 들을수가 있습니다.
상계월수란 본인이 추가납입한 국민연금 원금을 회수 하는 기간입니다.
원금 회수를 빨리 해야 그 다음 부터는 이자로 받으니 짧으면 짧을수록 본인에게는 득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을 납부하다 보면 추가납입을 희망에 의해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가성비를 따져보는 것이 상계월수 입니다. 간단히 말해 내가 추가로 내야 될 원금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기간을 말합니다. 짧으면 짧을 수록 유리하겠지요. 즉 내가 천만원을 한번에 추가납부했는데 한달에 연금액이 10만원이 늘어난다면 상계월수는 100개월이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규 손해사정사입니다.
보험 계약에서 "상계월수"는 보험금 지급 시 보험회사가 고객에게 지급할 보험금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하는 기간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상계월수는 계약 시 보험료와 보험금 지급액을 결정할 때 함께 결정됩니다. 보험계약 시 상계월수를 결정하면, 보험금이 지급되는 기간 동안 매월 일정 금액이 보험금에서 공제되어 지급됩니다. 상계월수는 일반적으로 12개월에서 24개월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상계월수는 고객이 지급받을 보험금의 총액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상계월수를 설정하면 보험료가 감소하여 월 보험료를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보험사는 상계월수를 이용해 계약의 위험도를 낮추고, 계약자의 신용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보험 계약 시 상계월수를 설정하는 경우, 상계월수와 관련된 모든 조건을 정확히 이해하고 계약 내용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희두 보험전문가입니다.
원금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기간이 상계월수입니다. 상계월수는 짧을수록 유리하다라고 보시면 됩니다. 왜냐하면 원금을 빨리 회수한 후 이후에는 이자를 받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상계월수란 상계된다라는 뜻으로 연금을 얼마동안 지급받으면 본인이 불입한 보험료와
상계되는 기간이라는 뜻입니다. 몇년 받으면 본인이 납입한 보험료를 다 받는다 라고 가정하는 월 수 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