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PPI(생산자물가지수) 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예상치 보다는 상회는 하였지만 전월 대비 감소는 한 것 같은데 시장에서는 악재로 받아들이는 것이 맞나요?
보통 예상치 보다 상회를 하면 악재로 생각을 하는 것이 맞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PI는 국내 생산자들이 생산물에 대해 받는 가격의 평균 변화를 측정하며 종종 인플레이션 압력의 지표로 사용됩니다. PPI의 하락은 생산자의 투입 비용이 감소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원자재 가격 하락, 국내 통화 강세 또는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 약화와 같은 요인 때문일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PPI의 하락이 기업의 투입 비용 감소와 이익 마진 증가로 이어진다면 주식에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잠재적으로 투자 증가와 경제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주가에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PPI의 하락은 광범위한 경제적 약세 또는 불확실성의 신호일 수도 있으며 이는 주식에 부정적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락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 감소로 인한 것이라면 이는 경제 성장 둔화와 기업 수익 감소의 신호일 수 있으며, 이는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악재로 받아 들이는 것이 단편적으로는 맞지만 기대 심리라는 것도 무시 못하죠.
나스닥 반등은 기대심리를 대신하는 결과 값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혹독한 경제침체가 우려 되었다가 생각보다 침체가 저조 하다고 느껴서 주식과 증시가 반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