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오는 날과 다음날 눈이오지 않는날은 기온이 왜 다른가요?
눈이 많이오는 날에는 영하의 날씨로 매우 춥다가 다음날 눈이그치고 햇볓이 나면 어제와 전혀 다르게 영상이 되어서 따듯하던데요. 왜그런건가요?
눈은 비처럼 구름 알갱이가 모여서 만들어지지만 생성 원리가 약간 다릅니다. 구름을 이루고 있는 작은 물방울들은 온도가 낮아지면 얼음 알갱이로 변합니다. 이 얼음 알갱이들이 증발해 다시 수증기가 되고, 얼음 알갱이로 다시 뭉치는 과정이 반복되는데 얼음 알갱이에 수증기가 달라붙어 덩치가 점점 커지고 무거워지면서 아래로 떨어지는데 이 것이 눈입니다. 물은 기체인 수증기, 액체인 물, 고체인 얼음으로 존재합니다. 젖은 옷을 입고 있거나 몸에 묻은 물이 마를 때 한기를 느낀 적 있지요? 샤워하고 금방 나왔을 때 몸이 차가워지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물이 증발하면서 체온이 낮아지는 현상입니다.
이렇게 물이나 얼음이 수증기가 될 때는 주변의 열을 빼앗아 가고, 반대로 수증기가 물이나 얼음이 될 때는 열을 방출합니다. 이 열을 승화열이라고 하는데 이 승화열 때문에 상대적으로 날씨가 따뜻해지는 것입니다. 1g의 눈이 만들어질 때 8㎉의 열에너지가 발생하여 눈이 내리면 오히려 따뜻해 집니다.또 우리나라의 기후적 특성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눈이 내리는 날에는 주로 남서쪽이나 서쪽에서 발달한 저기압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시베리아에서 발달한 고기압보다 덜 춥습니다. 우리나라 날씨의 특징이 눈 오는 날을 따뜻한 날씨로 바꾸기도 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복사냉각도 있습니다. 태양에서 오는 열 중 지표에서 반사되서 돌아가는 열이 굉장히 많습니다. 눈 내리는 날은 대부분 구름이 많이 낍니다. 구름이 많이 낀 날에는 구름이 이불처럼 대기를 덮어줘 지표면이 보관하고 있던 열을 빼앗기지 않게 됩니다.
참고
눈이 오면 날씨가 포근해 진다.
안녕하세요. 윤재빵야빵야입니다.
눈이오면 따뜻해 지는 이유는
열역학 제 1법칙에 따른 에너지 보존의 법칙 때문입니다
물이나 액체가 증발하게 되면 즉 기화 하게 되면 그 때 기화열이 발생하여 온도가 내려 가는 것은 아시지요 즉 피부에 물을 바르면 물을 바른 피부는 물이 증발하면서 생기는 기화열 때문에 일시적으로 차가와 집니다
이유는 물의 분자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추가로 갖게 되는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가 보충해 주기 때문 입니다 따라서 열에너지를 그만큼 잃게 되고 그 부근이 추워집니다
증발이 빨리 일어나면 빨리 일어 날 수록 빼앗기는 열에너지 즉 온도가 급속히 내려 갑니다
알콜 같은 경우는 물을 바르는 것보다 훨씬 더 차갑지요 그것은 알콜은 물보다 약 20배 정도 더 빨리 증발 하기 때문 입니다
피부의 국소 마취제도 이런 원리를 사용 합니다
물보다 약 100배 정도 빨리 기화 하는 물질을 피부에 바르면 피부의 온도가 급속히 내려가면서 일시적으로 얼어서 마비가 됩니다 그 때 수술을 하는 것이지요
자 그러면 왜 눈이오면 따뜻해 지는지 아시겠지요
눈은 비가 얼어서 만들어 집니다 즉 물이 얼어서 되는 것입니다
위에서 보았듯이 증발과 반대로 물이 액체 상태에서 고체로 바뀌면 운동에너지가 줄어들면서 반대로 열에너지가 늘어 납니다 즉 열에너지를 내놓습니다 그러면 따뜻해 지겠지요
실제로 물 1g이 눈이 되면 주위에 8cal의 열을 내 놓습니다
당연히 바람만 불지 않는 다면 주위가 온통 따뜻해 지겠지요
그리고 아래 과학선생님이 말씀 하셨다는 눈이 하얀색이니 반사해서 따뜻해진다는 논리는 사실 그것과 반대 입니다
빛이 반사되면 그건 그 물질을 덥힐 수 없다는 것입니다
어느물질을 빛이 반사하면 그 물질은 차가와 집니다
반대로 흡수하면 따뜻해 집니다 겨울에는 검은 계통의 옷을 입고 여름에는 흰색 계통의 옷을 입는 이유가 그것입니다
즉 눈이 내리면 지표면에 닻는 태양광선이 모두 반사해 버려서
지표면이 평소보다 더 차가워 집니다
만약 우리가 눈을 빨리 녹이고 싶으면 까만 연탄재를 눈위에 뿌리면 됩니다
그러면 까만색은 태양광선을 흡수하므로 연탄재가 있는 그 부분만 따뜻해 집니다
거기서부터 눈이 녹기 시작 합니다
만약 화성을 까만색으로 칠 할 수 있다면 내부에 있을지도 모를 얼어있는 물을 녹일 수 있고 그렇게 되면 대기가 다시 살아날지도 모른다는 학설이 있기도 합니다안녕하세요. 기발한사마귀264입니다.
눈이 많이오는 날에는 영하의 날씨로 매우 춥다가 다음날 눈이그치고 햇볓이 나면 어제와 전혀 다르게 영상이 되어서 따듯한 이유는 햇볕의 유무가 기온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눈이 오는날은 햇볕이 없으니 있는날 보단 춥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