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강직한꿩279
강직한꿩279

주식, 코인 차트에 선반영 된다는 말이 있던데 사실인가요?

주식, 코인 하다 보면 이런말 자주 듣잖아요.

호재도 선반영 되어있다~

악재도 선반영 되어있다~

이런 글 말이에요.

정말로 주식이나 코인 차트에 호재나 악재가 모두 선반영 되어있는 건가요?

너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선반영이 되긴 하지만 모든 주식에 악재호재가 선반영 되는 것은 아닙니다.

    • 선반영 되는 것은 예를들면 뉴스에 호재가 뜨는 경우는 이미 대부분 주가에 해당 호재가

      반영되어 있어서 뉴스가 뜨는 순간 하락하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 특히 우리나라에 많은데 그 이유는 정보의 보안이 지켜지지 않고 다른 쪽으로 새기 때문입니다

    • 그러나 미국의 경우는 실제 실적발표와 같은 이슈가 터져야만 이후 주가가 움직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두라고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많은 경우가 그러한 것 같습니다.

    흔히 뉴스, 일반인이 알고 있는 정보는 이미 시장에 반영된 것이라고 하는데요.

    주가에 반영되는 정보들은 훨씬 빠르게 내부자 및 기관들이 알고 있고,

    이들을 통해 반영됐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는 것입니다.

    이에 일반인들이 그 정보를 알게 되었을 때는 이미 선반영된 것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 주식, 코인 시장에서 호재/악재가 선반영 되었다는 말은 예상된 정보가 이미 가격에 반영되어 추가 영향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시장 참여자들이 정보를 신속히 거래에 반영한다는 효율적 시장 가설과 연결됩니다. 예를 들어 특정 기업의 실적이 매우 나쁠 것으로 예상되면 실적발표 전에도 해당 기업의 주가는 계속해서 하락하다가 오히려 실적발표날 실적이 매우 안좋게 발표되면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예측 불가능한 블랙스완(코로나, 전쟁 등)은 선반영되지 않아 주식시장에 갑작스런 충격을 줄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나 코인 차트가 호재나 악재는 선반영한다는 말은 상당히 일리가 있는 말이며, 실제로 금융 시장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선반영이라는 것은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특정 사건이 실제로 발생하기 전에 미리 가격에 반영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선반영이 되는 주요 이유는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와 예측 때문입니다. 어떤 기업이나 코인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저 소문, 혹은 분석가의 예측 등 정보가 시장에 나오기 시작하면, 투자자들은 그 정보가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즉각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가 혁신적인 신제품을 개발 중이다라는 소식이 돌면, 실제 제품 출시 훨씬 전부터 그 기대감으로 주가가 오르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든 상황에서 선반영된 것이 아니라, 투자자들은 뉴스에 나오기 전에 정보를 얻어서 투자하는 경우가 많아서 해당 종목의 호재나 악재를 미리 반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부 상황에서(특히, 투기세력이 많이 들어가는 종목) 심하게 나타나지만 안그런 경우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및 코인 차트에 선반영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맞습니다. 주식 및 코인들은 뉴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뉴스가 나오기 시작하면 이미 주가나 코인의 가격들이

    이에 반응해서 오르게 되어 있기에

    선반영은 실재한다고 봐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주식 코인 투자 오래했지만 호재에 안오르고 악재에 안 밀리면 늘상 하는 말이 선반영 되었다는 말입니다

    사실 그게 진짜로 선반영 된거지는 말하는 사람도 정확히 알수가 없는거죠 어찌 미리 호재 악재를 다 알고 가격에 선반영이 될가요 그러니 그냥 하는 말정도로 너무 의미 있게 생각하실 필요는 없을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에 호재나 악재는 선반영 돼있을수 있습니다. 특정 재료에 대해서 기대감으로 주식을 미리 매수하는 사람들이 있으면 주가가 미리 오르고 있을수 있습니다. 반대로 특정 안좋은 뉴스가 나올 가능성 때문에 리스크를 피하고자 주식을 미리 파는 사람이 있으면 주가가 실제 뉴스가 나오기 전에 먼저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세례이라 불리는 큰 자금 운용사나 개인이 여러 루트 통해서 해당 정보들을 먼저 접하고 포지션 잡는것이 일반화 되어 있다보니 해당 말이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과 코인 시장에서 "선반영"이란, 앞으로 있을 호재(좋은 소식)나 악재(나쁜 소식)가 실제로 발생하기 전, 시장 참가자들이 그 정보를 미리 예측해 주가나 코인 가격에 반영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의 실적이 좋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퍼지면, 실적 발표 전부터 이미 주가가 오르는 경우가 많죠. 반대로 악재가 예상되면 미리 가격이 하락하기도 합니다.

    이런 현상은 투자자들이 뉴스나 소문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미래를 예측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때문에 나타납니다. 그래서 실제 호재가 발표되는 날에는 이미 가격에 반영돼 별다른 상승이 없거나, 때로는 오히려 "기대감이 사라져" 하락하는 일도 꽤 흔합니다. 하지만 모든 정보가 완벽하게 미리 반영되는 건 아닙니다. 예상치 못한 사건(자연재해, 갑작스러운 규제 등)이 터지면 시장의 예측을 벗어난 움직임이 나올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주가나 코인 가격에는 시장이 예측 가능한 호재, 악재가 상당 부분 미리 반영되는 경우가 많지만, 항상 100% 선반영된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시장은 늘 예측과 현실 사이에서 움직이는 살아있는 생물과도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주식이나 코인 시장에서 '선반영되었다'는 말은 특정한 호재나 악재가 실제로 일어나기 전에 이미 가격에 반영되었다는 뜻입니다.

    어떤 기업의 실적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면 실적 발표 전에 주가가 오르고, 발표 직후에는 오히려 떨어지는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이미 많은 투자자들이 실적 호조를 예상하고 미리 매수했기 때문에 기대가 현실화되었을 때는 더 이상 새로 살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정보를 접하는 속도나 정보에 대한 해석이 투자자마다 다르고, 실제 결과가 예상과 다를 때도 많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코인 차트에 선반영이한, 미래에 발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호재나 악재가 실제로 일어나기 전에 투자자들이 미리 예측해 가격에 반영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실적 개선이 예상되면 발표 전에 주가가 오르며, 발표 후에는 이미 반영된 기대감으로 주가가 횡보하거나 오히려 하락하기도 합니다. 즉, 시장은 정보와 기대를 빠르게 흡수하므로 ”선반영“ 현상을 실제로 자주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대감의 표현이 산출되어 선반영되는경우가 많습니다.호재성공시를 내면 미리 미래에 얻어질수익이나 매출에 대한 예상이 사실인듯하여 미리주가가 들썩이게 됩니다.사람들의 심리는 남들보다 더 빠른스탠스로 이익을 가져가려는 기존심리가 있기때문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여 가격이 변동성을 가지는일이 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반드시 그런것은 아니지만 호재는 정보화시대이기에 미리 공유되고 오를것을 예측하고 매수세가 몰려가격이 오를수있기에 선반영되어있는경우가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선반영은 사실입니다. 시장은 예상되는 뉴스나 이슈를 미리 반영합니다.

    그래서 투자시장에서는 소문에 사고 뉴스에 판다는 말이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주식이나 코인의 경우 대외불안정성이나, 실적 등의 개선이나 실적의 하락 등이 보인다면, 이러한 것이 선반영이라는 내용으로 주가가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기존의 파동에 따라 작게 반영이 되는 것이 아닌, 몇일간 또는 장기간 주가가 크게 하락하거나 크게 상승하는 등의 변동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반영이 된다고 할때는 해당 주식이나 코인을 가져갈 것인지, 처분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차트에 무조건 선반영 되는 것은 아닙니다.

    차트는 말 그대로 과거의 차트일 뿐이지

    모두 반영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우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라는 자산은 미래 이익과 컨센서스가 매우 중요합니다

    간단하게 생각해서 질문하신 분이나 주변지인이 A라는 기업을 투자했을때 과거가 어때서가 아니라 앞으로 어떤데 올해 이익이 증가할것이냐 아니면 내년도 사업전망과 이로인해서 이익이 증가하고 배당이 증가하는지 여부를 보고 판단하고 투자하실겁니다

    즉 모든 시장참여자가 합리적이기 때문에 미래의 뉴스나 이익성장성을 현재기준으로 예측하여 가격이 반영되는것이며 기대치보다 실적이 낮아지거나 예상치못한 일에는 주가 변동성이 매우 크게 흔들리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나 코인 시장에서 '호재나 악재가 선반영되어 있다'는 말은 어느 정도 사실입니다. 시장 참여자들이 미래에 예상되는 좋은 소식(호재)이나 나쁜 소식(악재)을 미리 예측하여 현재 가격에 반영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죠.

    투자자들은 미래의 정보를 미리 예측하고 현재 매수/매도하여 가격에 반영합니다. 그러나 모든 정보가 완벽하게 선반영되지는 않으며, 예상치 못한 변수는 항상 존재합니다.투자에 있어 선반영 여부보다는 해당 정보가 시장에 미칠 실제 영향과 해석이 더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