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거대한향고래93
거대한향고래9323.05.20

중 2 남자아이 사춘기 극복 요령은?

아직 중1인데여 주변에서 중2 사춘기 아이들 힘든거ㅜ많이 봐서 벌써 걱정입니다 말 안하고 밖에서 싸우고 문제일으키는 아이 어떻게 사춘기 극복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인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정확히 이렇다 딥은 없지만 시간이 답인거 같습니다.

    많이 이해해주고 들어주고 공감해주는게 필요합니다.

    물론 쉽지않으시겠지만 최선을 다하면 진심이 통할듯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0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는 감정적인 변화와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요.

    아이의 싸움과 문제 일으키는 행동은 내면의 어려움을 표출하려는 것일 수도 있으니 이해와 동조의 마음을 갖는게 중요해요.

    아이를 지지하고 어려움을 이해하려고 노력해보세요.

    그리고 말하지 않고 싸우는 행동은 소통의 부재를 나타낼 수 있어요.

    아이에게 어려움이나 감정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시는것도 좋아요.

    아이를 위한 공간과 충분히 쉴수 있는 시간을 주시고 편안하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가질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 주시는것이 좋아요.


  •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는 많은 변화 속에서 자신의 정체감을 새롭게 만들어 가는 과정인 것 같습니다.

    달라지는 자신의 신체변화, 정서변화 등에 당황스러워하면서 하나씩 하나씩 스스로를 타협해가는 과정이라고 이해해주시면 좋겠습니다.

    학생들 스스로 변화하는 사춘기 과정에 심리적으로 갈등을 겪는 힘든 과정에서 주변의 누군가가 나무라거나 간섭을 하면 욱하고 싫은 내색을 할 수 있습니다.

    격동기 당황스러울 것이라는 것을 이해해주시고 믿고 지켜봐주시면 좋겠습니다.

    - 사춘기에는 대체로 혼자있고 싶어하고 누군가의 질문에 퉁명스럽게 답하고 사소한 일에도 욱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이럴 때는 조금 뒤에서 지켜봐주시고 자녀분이 다가올때까지 기다려주셨으면 합니다.

    - 시기하게 대학생이 되면 다시 부모의 곁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 긴 호흡에서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많이 해서

    아이의 마음을 알아주고 올바른 길로 갈 수 있도록

    같이 대화하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이야기를 많이 들어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잘못된행동에 대하여 조금이라도

    개선을 하면 이에 대한 인센티브를 주는 등 회유해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는 질풍노도의 시기 입니다.

    이 시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시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 하시면서 그 모든 것들을 공감해 주시는 것입니다.

    아이는 사춘기가 처음인지라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잘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님께서 아이가 올바른 사춘기를 보낼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원석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유대관계를 많이 이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불만이 있거나 아이가 생각하는 방향과 부모님이 생각하는 방향이 다를 때에는

    아이에게 부모의 생각이나 강압을 하면서 아이를 통제하기 보다는 아이가 어떻게 생각을 해왔고 어떤 판단을 내렸는지, 불만은 어떠한 부분에서 불만을 느끼고 있는지 충분히 들어주시고

    만약 아이의 판단이 잘못되었다고 한다면 다그치기 보다는 이야기를 통해서 어떤 부분이 잘못되었을 수가 있는지에 대해서 아이가 생각할 수 있고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도와줘야 합니다.

    아이가 본인이 존중받는다고 생각할 때에 사춘기를 더 잘 넘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는 아이에 따라서 다를수있습니다

    평소 부모와 라포가 잘 형성된 아이라면 위의 부분에 대해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 시기에는 감정의 질풍 노동을 겪는 시기이기 때문에 아이의 힘들고 화나는 마음을 공감해주고 이야기를 할 때 잘 들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사춘기 시기를 겪게되면 의학적으로도 성장호르몬 분비 때문에

    아이들의 행동이 바뀐다고 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아이들의 마음을 들어주시는

    것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자주 시도하시되 아이가 대화를 거부하는 경우

    문자나 카톡, 편지 등을 활용하여 대화를 시도해보세요. 이시기 아이들과 대화를 얼마나

    자주 하느냐에 따라 아이심리안정을 꾀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가 오는 시기에 청소년들은 정서적으로나 신체적으로 큰 변화를 겪습니다.

    보통 여자는 9~11세 정도에

    남자는 11~13세 정도에 사춘기가 시작된답니다.

    아이들마다 발달 차이가 있겠지만 유전적.환경적 요인 등에 따라서 다양한 원인에 영향을 받아 시작되기도 하지요

    또한 사춘기 자녀와 대화를 시작할 때는 자연스런 분위기와 주제로 접근하는 게 좋습니다.

    부모 입장에서 자녀에게 무언가 해주고 싶은 이야기나 정답을 이미 가지고 있는 상태로 '우리 얘기 좀 하자' 라고 심각하게 접근하면, 사춘기 자녀들은 벌써 눈치를 채고 불편하고 꾸중을 들을 것 같다는 마음이 느끼게 해서는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가 오면 대부분의 아이들이 부모와 대화를 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자신의 방에서 나오려고 하지도 않지요

    항상 작은 일에도 함께 웃어 주시고,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을 자주 갖으세요

    함께 산책을 하거나, 외식을 하거나, 가볍게 쇼핑을 하는 등, 최대한 함께 어울리세요

    아이와 갈등이 있을 땐 다그치거나 혼을 내기 보다는 아이의 감정이 가라 앉았을 때 차분하게 대화를 이어 나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