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하반기에 금리가 정말 낮아질까요?
금리가 지속적으로 높아져 주담대가 내년에 10퍼센트에 육박할거라 예상됩니다. 그러나 대다수가 하반기쯤에는 금리를 낮출거라 예상하는데 그 근거가 궁금합니다. 아직 세계 정치 군사적 긴장 관계가 팽배한데 섣부른 판단 아닐까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이번 11월에 한국 금통위에서 금리를 0.25%(베이비스탭)으로 인상을 했습니다.
미국과의 금리가 벌어짐에도 불구하고 베이비스탭으로 금리를 올린 것이지요.
미국처럼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기가 부담스러운 상황까지 왔습니다.
금리를 공격적으로 계속 올리게 되면 가계 대출이 많은 우리나라는 상당히
부담스럽고 또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다 심각한 경기 침체를 유발 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내년 상반기에 1~2차례 인상하고 더 이상의
금리 인상을 없을 것으로 저는 예상합니다.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말씀대로 현재의 금리인상 추세를 본다면 내년이 된다고 하더라도 금리를 갑자기 낮추지는 않을 것이란 생각을 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환율방어와 환율상승에 의한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서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곧 우리나라 기준금리의 기준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반기의 금리인하 이야기가 나온 것은 바로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서 인데요.
미 연준이 금리인상을 시작한 것은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상승함에 따라서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시작되었습니다. 지난 7월 9.1%까지 상승했던 CPI는 지난 11월 10일 기준으로 7.7%까지 떨어지면서 인플레이션이 예측보다 빠르게 억제되고 있다는 데이터가 모이기 시작하였고 연준의 예측은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인상을 하게 된다면 2023년도 연말에는 3%의 CPI를 그리고 2024년 상반기에는 목표로 한 2%대의 CPI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습니다.
게다가 내년에는 CPI의 억제를 위해 올렸던 금리 즉 고금리로 인해서 심각한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있고 실제로 경기침체의 징조가 세계 곳곳에서 보이고 있어서 내년 하반기에는 CPI가 내려가고 경기침체가 예상되니 금리인하를 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판단을 하게 된 것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나라도 내년 경제성장률이 1%대로 예측되고 벌써부터 대기업들의 재고가 심각하게 쌓이고 내년의 경기침체가 예상되고 있어 미국의 이러한 금리기조를 쫓아가게 된다면 2023년도 연말쯤부터 금리인하를 할 가능성이 높게 생각하게 되는 것입니다.
다시 간략하게 요약해서 정리드리면 하반기 금리 인하를 예측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3년도 하반기 미국의 CPI가 3%대로 목표한 2%대에 근접
2023년도 고금리로 인한 경기침체
경기활성화를 위해 2023년도 연말부터 금리인하 논의 가능성 상승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둔화되면 금리 결정권자들은 2023년 1분기에는 금리인상을 중단할 수있습니다. 시장 기대는 4.85% 수준이지만 BOE가 2023년에 금리를 제약적인 수준에서 유지함으로써 더 낮은 최종금리를 확실히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내년 하반기에 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금리와 같은 경우 향방을
전혀 알 수 없습니다.
현재와 같은 속도로 금리가 인상되지 않을 확률이 높아보이나
내년에 내려갈 확률은 개인적으로는 낮다고 생각하며 당분간은
동결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물론 내년 하반기에 금리를 꼭 내릴거라 단정지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물가상승률이 어느 정도 내려오고 경기침체가 확실히 가시화되기 전까지는
금리를 내리기가 힘듭니다.
미국 금리 상황도 같이 살펴야 하고요.
군사적 긴장 관계 이런거 자체보다는 경제적인 측면이 더 중요한 판단근거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년 하반기에 금리가 내려갈 것이라는 확신을 갖기는 힘듭니다.
다만, 현재 어느정도 인플레이션의 폭이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그렇게되면 기준금리에 대한 정책적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평가를 조심스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반기에는 어느정도 효과를 지켜보고 하반기에는 기준금리를 낮추는 정책들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