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우렁찬호랑이144
우렁찬호랑이144

내년 하반기에 금리가 정말 낮아질까요?

금리가 지속적으로 높아져 주담대가 내년에 10퍼센트에 육박할거라 예상됩니다. 그러나 대다수가 하반기쯤에는 금리를 낮출거라 예상하는데 그 근거가 궁금합니다. 아직 세계 정치 군사적 긴장 관계가 팽배한데 섣부른 판단 아닐까 걱정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새벽공기
      새벽공기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이번 11월에 한국 금통위에서 금리를 0.25%(베이비스탭)으로 인상을 했습니다.
      미국과의 금리가 벌어짐에도 불구하고 베이비스탭으로 금리를 올린 것이지요.

      미국처럼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기가 부담스러운 상황까지 왔습니다.
      금리를 공격적으로 계속 올리게 되면 가계 대출이 많은 우리나라는 상당히
      부담스럽고 또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다 심각한 경기 침체를 유발 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내년 상반기에 1~2차례 인상하고 더 이상의
      금리 인상을 없을 것으로 저는 예상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말씀대로 현재의 금리인상 추세를 본다면 내년이 된다고 하더라도 금리를 갑자기 낮추지는 않을 것이란 생각을 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환율방어와 환율상승에 의한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서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기조가 곧 우리나라 기준금리의 기준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반기의 금리인하 이야기가 나온 것은 바로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서 인데요.

      미 연준이 금리인상을 시작한 것은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상승함에 따라서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시작되었습니다. 지난 7월 9.1%까지 상승했던 CPI는 지난 11월 10일 기준으로 7.7%까지 떨어지면서 인플레이션이 예측보다 빠르게 억제되고 있다는 데이터가 모이기 시작하였고 연준의 예측은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인상을 하게 된다면 2023년도 연말에는 3%의 CPI를 그리고 2024년 상반기에는 목표로 한 2%대의 CPI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습니다.

      게다가 내년에는 CPI의 억제를 위해 올렸던 금리 즉 고금리로 인해서 심각한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있고 실제로 경기침체의 징조가 세계 곳곳에서 보이고 있어서 내년 하반기에는 CPI가 내려가고 경기침체가 예상되니 금리인하를 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판단을 하게 된 것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나라도 내년 경제성장률이 1%대로 예측되고 벌써부터 대기업들의 재고가 심각하게 쌓이고 내년의 경기침체가 예상되고 있어 미국의 이러한 금리기조를 쫓아가게 된다면 2023년도 연말쯤부터 금리인하를 할 가능성이 높게 생각하게 되는 것입니다.

      다시 간략하게 요약해서 정리드리면 하반기 금리 인하를 예측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3년도 하반기 미국의 CPI가 3%대로 목표한 2%대에 근접

      • 2023년도 고금리로 인한 경기침체

      • 경기활성화를 위해 2023년도 연말부터 금리인하 논의 가능성 상승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둔화되면 금리 결정권자들은 2023년 1분기에는 금리인상을 중단할 수있습니다. 시장 기대는 4.85% 수준이지만 BOE가 2023년에 금리를 제약적인 수준에서 유지함으로써 더 낮은 최종금리를 확실히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내년 하반기에 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금리와 같은 경우 향방을

      전혀 알 수 없습니다.

      현재와 같은 속도로 금리가 인상되지 않을 확률이 높아보이나

      내년에 내려갈 확률은 개인적으로는 낮다고 생각하며 당분간은

      동결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물론 내년 하반기에 금리를 꼭 내릴거라 단정지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물가상승률이 어느 정도 내려오고 경기침체가 확실히 가시화되기 전까지는

      금리를 내리기가 힘듭니다.

      미국 금리 상황도 같이 살펴야 하고요.

      군사적 긴장 관계 이런거 자체보다는 경제적인 측면이 더 중요한 판단근거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년 하반기에 금리가 내려갈 것이라는 확신을 갖기는 힘듭니다.

      다만, 현재 어느정도 인플레이션의 폭이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그렇게되면 기준금리에 대한 정책적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평가를 조심스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반기에는 어느정도 효과를 지켜보고 하반기에는 기준금리를 낮추는 정책들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