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의젓한동고비135
의젓한동고비135

왼쪽 팔 안쪽 연한 살에 통증이있습니다

성별
여성
나이대
25

제가 자주 움직이는 일을 하긴하는데 왼팔 보다는 오른팔을 더 많이 씁니다..근데 며칠전부터 왼쪽 어깨도 살짝 아프다가 갑자기 왼쪽 겨드랑이 위쪽 말랑살 쪽이 근육이 땡기는 것처럼 아픕니다..자주 그런건 아니고 가끔 움직일때나 갑자기 확 아플때가 있는데 왜 그런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팔안쪽으로 불편감이있다면 병원에서 검사와치료를받아보는것이 좋은데요 보통은 근육의 불균형이나 염증등에의해서 생기는문제일수있으니 가까운 정형외과를 방문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왼쪽 팔 안쪽과 겨드랑이 위쪽 통증은 과사용이나 근육 긴장 또는 신경 압박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팔을 많이 쓰지 않더라도 잘못된 자세나움직임으로 근육에 과부하가 걸리면 통증이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약 통증이 꼐속되거나 심해진다면 상담을 받는 것이 좋아요!

  • 안녕하세요. 박인국 물리치료사입니다.

    감각은 자극이 뇌로 전달 되어 느끼는데

    현재 자극을 주지 않으면 통증이 있고 자극을 주지 않으면 통증이 없다면 

    주변 근조직이나 피부 조직이 예민해진 상태로 의심됩니다.

    어떤 이유로 예민해진지는 알수 없으나 생활습관과 관련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목이 꺽인 상태로 티비나 휴대폰을 자주 보신다거나

    팔을 배고 옆으로 돌아 누워 자는 경우가 있다면

    해당 감각을 느끼는 신경이 압박을 받아 감각이상을 느낄 수 있으나 자기전 스트레칭으로 몸을 움추리고 자는 습관을 바꿀수도 있으니 해보시고

    2~3일 스트레칭을 해도 해결이 안될경우 병원 내원하셔서 정확한 진단 검사를 해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 안타깝지만 이야기 하신 비특이적이고 비특징적인 증상 정보를 통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상태인지 무슨 원인에 의한 것인지 감별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증상이 지속되는 양상이라면 정형외과적으로 진료 및 정밀 검진을 통한 구체적인 감별 진단을 받으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목에 있는 추간판(디스크) 주변에 압박이 가해지거나, 염증반응등으로 인하여 통증이 생긴것은 아닐까 의심이 갑니다.

    업무환경이 한쪽을 계속 바라보고 있거나 한가지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편 이라면, 지속적으로 목에 가해지는 압박으로 인해서 말씀하신 것과 비슷한 양상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선은 병원에 방문하셔서 현재 상태에 대해서 검사를 받아보시고 필요한 치료가 있다면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업무환경에 변화를 주시고, 꾸준한 운동과 스트레칭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폼롤러를 이용해서 광배근을 풀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건강을 기원하겠습니다!

    도움이되셨다면 별점5점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진짜 살, 피부가 땡기는 것인지 근육이 땡기는 것인지 체크를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근육에 유착되거나 굳은 부위가 있다면 대신하여 다른 부분이 좀 더 과하게 늘어나게 될 수 있습니다.

    그 굳은 부분을 근본적으로 해결해주지 않으면 다시 땡기게 될 수 있습니다.

    가까운 정형외과에 내원하셔서 진료보신 후 권해주시는 치료를 받아보시면 생각보다 금방 좋아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정확한 부위를 파악하긴 어렵지만 갑작스러운 움직임으로 근 수축이 일어나면서 무리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평소에 틈틈이 스트레칭과 가벼운 마사지(폼롤러, 마사지 볼 등등)를 해주시길 바라며

    혹시 저림이나 붓기, 열감이 있으시다면 바로 병원에 내원하셔서 검사를 통해 치료를 받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현재로썬 정확한 감별 진단이 어렵기에 바른 자세 유지, 스트레칭 및 가벼운 마사지를 통해 관리해보시고

    그래도 호전이 없다면 병원에 내원해주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