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에서 역사 공부를 따로 하나요?
예전에는 우리나라 역사 공부를 초등학교 때는 아주 조금 배우고 본격적인 건 중학교 때부터 시작했던 것으로 기억이 나는데요. 요즘에 초등학교 역사 교육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나오기 이전에는 5학년2학기~6학년 1학기에 걸쳐서 배웠는데
개정 교육과정이 나온 이후로는 초등학교 5학년 2학기에 한국사를 배운다고 합니다.(고조선~대한민국)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현재 초등학교에서 역사는 정규 수업에서 5학년 사회 교육과정에 편성이 되어 있습니다. 고대선사시대부터 근현대사까지 집중적으로 배우고 최근까지의 역사까지도 교과서에 실려 있습니다. 일본과 중국의 역사왜곡에 맞서서 초등학교에서도 많은 선생님들께서 아이들의 수준에 맞게 실제적인 역사적 사료들을 통해서 아이들의 역사적 지식과 관점을 바로잡아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요즘 초등학생들의 경우에도 역사 공부를 한다고 합니다. 역사를 알아야 현재가 있다는 말이 있듯이 이는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요즘에는 고학년이 되면 조금씩 역사 공부를 한다고 합니다. 왜곡되지 않은 역사공부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위인들을 알고 나라와의 관계를 통해서 정확한 기준이 정립될 수 있도록 되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초등학교에서는 우리나라 역사와 세계 역사의 기초적인 개념을 가르칩니다. 그리고 역사적 사건, 인물, 문화에 대해 교과서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소개합니다. 사회과목 내에서 역사적 배경과 현재와의 연관성을 배우며, 흥미를 유도합니다. 초등학교에서는 역사 교육이 중학교보다 기본적인 수준으로 교육하고 있고 본격적인 심화 학습은 중학교에서 이루어집니다. 참고하시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초등학교 역사 교육은 사회과목에서 일부 영역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3학년 사회에서 석기시대, 5학년 사회에서는 고조선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나라의 발전에 이바지한 인물과 대표적 문화유산에 관해 공부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 5학년부터 역사를 배우기 시작합니다 초등학교5학년 2학기 사회교과에서 선사시대부터 대한민국 수립까지 간략하지만 핵심적인 부분들을 다룹니다 초등학교6학년 2학기에 보다 심화된 역사 내용을 다룹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