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모던한반딧불19
모던한반딧불1923.02.19

남아 7살인데요 무조건 자기가일등해야되거든요?

7살 아들키우는 아들맘입니다!!

아이가 무슨게임을하던 어떤상황에도

자기가 무조건일등해야돠거든요

어린이집가서도 친구들하고 게임하다

지면 졋다고 울고 집에서도 아빠랑 놀다

지면 울고 자기가 일등해야되는데 하면서요~~

정말 아무리 교육을 시켜도 안듣네요

어떻게해야 돠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가령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던한 반딧불 님. 반갑습니다!

    자기주장을 펼치고 싶은 나이이군요. 무엇이든 내가 이겨야 한다는 생각에 인정하지 못할 때 울고 있는 자녀를 보는 엄마 마음이 얼마나 답답하고 당황스러울까요.

    나름 어떤 교육을 하셔도 잘 듣지 않으니 난감한 마음이 전해집니다.

    먼저 자녀의 성향을 이해하고 파악하시면 어떤 아이라고 여기시나요?

    교육하는 부모와 공감하며 이해하려는 부모와 차이는 있을 것입니다.

    승리욕이 강한 자녀가 실패했을 때

    부모나 할아버지·할머니, 지인의 반응은 어떻게 보였을까요?

    승부욕이 집착하는 것은 또래아이들 사이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심리이기도 합니다.

    자기주장이 강하고 자존심을 지키고 싶은 아이의 마음속에 다른 사람의 마음보다 자신의 감정에만 집중하게 됩니다. 초기 학령기에 들어서면 이런 자기중심성 줄어들고 승부욕에 집착하는 모습이 덜 보이게 됩니다.

    이기는 경험으로 성취감을 원하는 자녀에게 지는 경험도 중요합니다. 크고 작은 좌절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좌절감을 견디는 ‘좌절 내성’과 거듭 도전해 끝끝내 성취하는 ‘좌절 인내력’이 길러지는 까닭입니다. 울 때 놀리거나 질책으로 수치감을 경험하지 않도록 토닥여 주시며 속상하고 억울한 마음을 헤아려주세요. 아이의 마음이 풀릴 때 상황을 설명해주세요.

    이런 경험을 반복해서 할 수 있도록 부모는 기다려줍니다.

    고군분투한 끝에 패배한 경기나 상황을 두고 흔히들 “졌잘싸!”라고 합니다. 졌지만 잘 싸웠습니다. 결과와 상관없이 최선을 다하고, 그 결과를 받아들이는 ‘졌잘싸’의 경험은 아이에게 더없이 중요합니다.

    제가 상담했던 중1 학생반장이 시험 문제가 틀려 울었던 마음을 상담을 통해 극복해가는 모습을 본 적이 있습니다. 부모역할이 자녀에게 어떤 동기를 주고 배려하고 이해하며 존중받는 경험을 자주 하도록 기회를 주세요.

    권장 책이 있습니다.《졌다!》는 주인공 정현이처럼 승부욕 강한 아이들에게 건네는 거울입니다. 평소 자기 모습을 돌아보고, 자신이 그런 행동을 했을 때 상대방이 어떤 감정을 느낄지 생각해 볼 수 있게 해 주지요. 나아가 정정당당하게 승부를 치르고 그 결과를 받아들이는 일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학령기에 접어든 뒤에도 승부욕이 지나쳐서 스스로를 힘들게 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미리 자녀와 소통하며 자녀 마음을 들여다봐 주시는 부모의 노력입니다.

    모던한 반딧불 님! 질문을 통해 자녀를 이해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부모님이 되고 싶은 님! 응원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나를 더 이해하고 수용하며 질문 전보다 ‘나’를 알아가는 귀한 시간 되길 바랄게요.

    즐겁고 건강한 ‘님’이 자녀와 소통하시는 부모 모습을 상상해봅니다.

    감사합니다! 늘 우리의 삶이 기쁘고 행복하기를 축복합니다.

    아하(Aha) 아동심리상담사 가 령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운다고 해서 일부러 져주거나 하지 않고

    정정당당하게 게임 하는 방법을 알려줘야 합니다

    그리고 거절하는 방법도 경험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승부욕이 넘치는 것 같습니다.

    부모님이 평소에 아이 앞에서 경쟁을 부추키는 말을 자주 하지는 않는지 점검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아이의 결과물 보다는 과정 하나 하나에 아낌 없는 칭찬을 해주세요

    예를 들어 퍼즐을 완성하지 못했지만,

    집중해서 퍼즐을 맞추고 있는 너가 정말 멋지다! 라고 활동 하는 과정에 칭찬을 해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에게 다른 사람을 모두 이길 수 없음을 가르쳐 주세요.

    나보다 뛰어난 사람들이 많고 나의 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함을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실 많은 아이들이 심한 경쟁심을 가지고 있어서 이상한게 아닙니다. 많은 아이들이 그런모습을 보입니다 ^^;; 아이들은 경쟁심이 높고 지는것을 싫어하는데요. 집에서 간단한 보드게임을 통해 질 수도 있고, 굳이 경쟁을 안해 되는 상황임을 인지시켜 주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이 통하지 않더라고

    무조건 일등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지속적으로 꾸준히 반복하여 알려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수긍하고 받아들일 때까지 계속 아이에게 말하여 주세요

    그리고 아이의 감정을 다독여 주시는 것 또한 필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