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완벽한말똥구리64
완벽한말똥구리6424.02.25

만6세 아이 보드게임을 할 때 이기는 것에 집착하는 거 같은데 어떻게 훈육해야 할까요?

우리 아이와 집에서 게임을 할 때 지면 엄청 화를 냅니다. 다시 하자고 억지를 부리곤 합니다. 이게 승부욕이 강한 것인지 단슨히 져서 기분이 나쁜 것인지 모르겠어요. 이기든 지든 재미있게 놀면 됐다고 말해도 바뀌지 않내요. 어떻게 훈육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 시기에 아이가 승패가 있는 게임을 순순히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습니다.

    보통 5~6세부터 승부욕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가정에서 지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의 열정에 관심을 가져주세요. 어떤 상황이든 아이에게 '사랑하고 자랑스럽다'고 말해 안심시켜줍니다. 아이의 열정을 학습, 노력, 재미로 연결하도록 도와줍니다.

    자녀에게 좋은 리더십을 알려주는게 좋습니다. 자랑이나 과한 승부욕이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상하게 할 수 있는지를 이야기 해봐도 될 것 같습니다.

    긍정의 눈으로 아이의 장점을 보고 과정의 중요성을 알려주면 됩니다.

    또한 아이가 자제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패배를 인정하도록 가르쳐주세요. 모든 사람이 언제나 이길 수는 없습니다. 때로는 패배를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합니다. 부모님께서는 아이에게 패배를 인정하는 법을 가르쳐주고, 실패하더라도 다시 도전할 수 있다는 용기를 심어주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게임을 하고 나서 졌다고 화를 내는 습관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아이가 게임을 하고 나서 졌다고 화를 낸다면 단호하게 게임에서 졌다고 화를 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게임을 하고 나서 졌다고 화를 내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정확하게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게임을 이기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해서 말을 해주시고, 게임에서 졌다면 쿨하게 상대에게 이긴 것을 축하한다 라고 말을 하는 것이 멋진 모습 이라는 것을 인지시켜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승부욕이 강한 경우 운동을 통해 승부를 인정하는

    과정을 배우게 하면 도움이 됩니다. 운동의 경우 승부를 내야하며

    승부에 승복을 하는 과정 또한 배우게 된다고 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지금 당장은 지는 것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하고 속상해하겠지만 끊임없이 이기고 지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교육해주시기 바랍니다.

    보드게임이든 어떤 시합이든 실력과 더불어 운도 따라주어야 하는 것이므로 누가 이길지 모르기에 졌다고 너무 실망하지 말고 다음 게임에서 더 잘해보라고 위로해주세요.

    그리고 예전에 아이가 이겼던 경험을 떠올리게 하면서 또 이길 수 있으니 열심히 해보자고 격려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성격 상 게임 등에서 졌을때 화를 참지 못하고 표현하는 아이들이 많죠.

    이길수도 있고 질 수도 있으니 화를 참을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것이 좋아요.

    화내는것도 습관이 되거든요.

    아이가 사소한것에 화를 안낼수 있도록 감정 다스릴수 있는 음악이나 가라 앉힐 수 있는 대화를 해주면 도움이 되더라구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기다려주세요

    아이를진정하게기다리고

    진정되면 상황에대해감정을공감하되 객관적으로질수도있고이길수도있음을설명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같이 협동하여 즐길수있는 놀이를 해주시는것이 좋으며

    아이와 꾸준히 협동하여 하는게임을 하다보면 이러한 것들이 조금씩 좋아질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게임 중 화를 내는 행동에 대해 이해하고 진심으로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것이 승부욕 때문인지, 패배에 대한 미흡한 대처 때문인지 이유를 파악하세요. 이후에는 훈육보다는 이해하고 지원해주는 태도로 접근하세요. 게임이 승부욕을 자극하는 것 같다면 협력과 승리보다는 즐거움에 초점을 맞춰 보세요. 플레이의 과정과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패배에 대한 긍정적인 대처 방법을 함께 학습하도록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