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자보호 5천만원 넘게 예금하는거보다 분할이 나은가요?
예금자보호 5천만원 넘게 예금하는거보다 분할이 나은가요?
이자가 낮더라도 5천만원 이하로만 예금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안전하게 예금을 하시고자 한다면 은행 별로 5천만원씩만 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금융기관 별로 5천만원씩 보호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분산해서 넣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상 1금융권들은 도산할 가능성이 매우 낮기는 하겠지만,
정말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한다면 분산이 좋기는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조심해서 나쁠 것은 없겠지요 5천만 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되기 때문에 이러기든 5억이든 돈이 많은 분이라면은 여러분 대로 나눌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을 가입하는 은행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축은행을 기준으로 한다면 1 은행당 5천만원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대로 5천만원 이상 1금융권에 저축한다면 나누기 보다는 한곳에 몰아넣어도 큰 문제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자보호대상금액이 5천만원이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라면 5천만원까지 예금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만, 이는 제2금융권을 거래하시는 경우이며, 1금융권을 거래하신다면 굳이 분할 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금융권의 부도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지급불능사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금융사에서 인수하여 지급 처리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새마을금고, 단위농협 등 2금융권을 거래 하실 때 분할해서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일금융권이라고 한다면 어쩔 수 없이 다 일절 5000만원 이상 예금을 해도 사실상 문제는 없다고 봅니다. 다만 저축은행의 경우에는 5000만원 단위로 끊어서 예금하는 게 안정성 측면에서 낫다고 봅니다
1금융권으로 예금하는 경우에는 사실 크게 문제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예전 IMF 같은 그정도 경제 충격 아니고는 1금융권 은행이 무너질 일은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혹시나 무너지게 되더라도 그정도면 나라 경제에 이미 징조가 보이고 적지 않은 충격이 감지되지 않을까 합니다.
예금자보호제도는 금융기관의 파산이나 지급 불능 시 예금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 국내에서는 예금보험공사가 1인당 최대 5천만 원까지 보호합니다.
따라서 한 금융기관에 5천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을 예금할 경우, 초과분은 보호되지 않아 손실 위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5천만 원을 넘는 예금을 여러 금융기관에 나누어 각 기관당 5천만 원 이하로 예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예금이 보호 한도 내에 있어 전액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이자가 다소 낮더라도 안전성을 고려한다면 분할 예금이 유리하며 자산 보호 측면에서 효율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예금자보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저희 가정은 예금자보호 금액 이내에서만 예치를 하고 넘는 금액은 다른 은행을 사용하게 됩니다.
안전한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안정성 등을 최우선시 하신다면
이에 각 금융기관마다 5천만원 이하로만
예치하시는 것이 좋을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자 보호 한도는 5천만 원이므로, 이를 초과하는 금액을 한 금융기관에 예치할 경우 보호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금액이 5천만 원을 넘는다면 여러 금융기관에 나누어 예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예를 들어, 각 은행에 5천만 원 이하로 분산하면 예금자 보호를 충분히 받을 수 있어 리스크를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시중에 1금융은 망할일이 잘 없습니다.
분할하는게 가장 좋지만 투자나 자금 운용에 따라 금액은 조절하는게 맞습니다.
무조건 분할로 넣는거는 자금 운용이 많은 사업이나 자영업자한테는 불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