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주보다 우선주가 상승할수 있는 조건에는 어떤게 있는가요
우리나라 주식은 보통주가 우선주보다 더 가격이 대부분 비싼것 같아요 그래서
궁금한데요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더 상승하기 위한 조건에는 어떤게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배당금 우선 지급, 청산 시 자산 우선 분배 권리가 있어 안정적 수익 기대 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정 배당률이 보장되거나 보통주 대비 가격이 저렴할 때, 시장 불확실성 증가 시 투자자들이 선호해 우선주가 오르기도 합니다. 전환 우선주가 보통주로 전환 가능할 때도 상승 요인이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선주들의 가격이 오르는 조건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선주의 가격이 상승하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기준금리가 낮아야 하고
기업의 실적 개선 및 보통주와의 가격 괴리율 확대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크게 상승할 수 있는 조건은 기업의 대규모 배당 확대나 강력한 주주 환원 정책이 발표될 때입니다.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배당을 우선적이고 더 많이 받기 때문에, 기업의 이익이 늘어날수록 배당 수익률의 매력이 극대화됩니다. 또한, 우선주는 유통되는 주식 수가 보통주에 비해 현저히 적어, 소규모의 매수세가 유입되어도 가격이 쉽게 급등하여 보통주와의 가격 괴리율을 좁히거나 역전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시장 전반이 부진하거나 저금리 상황이 지속될 때 안정적인 고배당을 찾는 투자자들이 몰려 상승을 주도하기도 합니다. 다만, 적은 유통량은 곧 높은 변동성을 의미하므로 이상 급등 이후에는 급락할 위험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이론적으로 가격이 비싸게 거래되는건 밸류에이션상 힘든 구조입니다 우선주는 근본적으로 의결권이 없기 떄문입니다.
즉 사실상 의결권이 없는 채권과 같은 성격이기 때문에 보통주보다 할인되어서 거래가 되는게 당연하며 다만 우선주는 배당을 우선해서 받을 수 있거나 잔여재산을 먼저 청구해서 받을 수 있는 권리의 주식입니다. 즉 사실상 우선주가 갖고 있는 프리미엄 요소가 의결권보다 매우 약하기 때문에 할인되어서 거래될 수 밖에 없으며 우선주가 각광을 받기위해서는 지나치게 가격이 낮아서 배당수익률이 보통주보다 월등히 높어야 상승할 수 있는 여력이 만들어집니다.
즉 우선주는 배당수익률에 목표되어서 거래가 되는것이며 간혹 시장에서 세력이라고 불리우는곳에서 거래유동성이 없을때 가격을 일부러 높게 올려서 단기 차익매매형태로 거래가 이루어질때도 있긴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주는 배당금이 높거나 안정적일 때 상승 가능성이 커집니다.
기업이 높은 배당을 발표하거나 이익이 증가하면 우선주 매력이 높아져 수요가 증가합니다.
또한, 시장 변동성이 높을 때 투자자들이 안정적인 배당을 선호하며 우선주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보통주는 성장 기대감이나 의결권 프리미엄으로 가격이 높습니다.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상승하려면 배당 정책 강화, 기업 실적 호조, 시장의 배당 선호도가 높아지는 조건이 필요합니다. 단, 유동성이 낮아 변동성이 클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상승하는 상황은 우선주의 발행주수가 적은 경우에, 그리고 호재가 있을 경우, 우선주의 경우 그만큼의 주주총회 등에서의 발언권은 없지만, 대신 그 발행주수가 보통주보다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긍정적인 호재가 있다면 우선주의 주가가 크게 상승하는 경우가 많기 떄문에 이러한 우선주와 보통주의 발행주수의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상승할 수 있는 조건은 기업의 실적이 아주 안정적이고 꾸준해서 고정 배당금에 대한 매력이 커질 때나, 신형 우선주처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나중에 보통주 상승에 따라 가치도 같이 오를 수 있는 특별한 조건이 있을 때입니다. 또한 불안정한 시장에서 안정적인 배당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의 수요가 몰릴때이죠.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 수익률이 높거나 보통주 대비 할인율이 과도할 때 상승여력이 생깁니다.
지배구조 개편이나 자사주 매입이 있을 때 프리미엄이 붙기도 합니다.
거래량이 적어 변동성이 크므로 분할 매수가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