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아이가 요즘 특별히 아픈데도 없는데 말수가 없습니다. 아이도 우울증이 올 수 있나요?

며칠 전 놀이터에서 또래 아이한테 머리를 맞고 들어온 이후로

아이가 기운도 없고 말수도 없고 장난도 치지 않아요.

잘 하던 게임도 안하는데 우울증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가 특별한 이유 없이 말수가 적고 기운이 없다면 우울증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 다른 아이에게 맞은 경험이 있다면 그로 인한 충격과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을 늘리면 아이의 정서적 안정에 도움이 됩니다.

  • 아무래도 아이가 당시 놀이터에서 겪었던 사건 때문에 심리적 정신적 충격을 굉장히 많이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럴 때에는 가만히 지켜만 보시고 있는 게 아니라 아이의 마음 상태가 어떤지 부모님들께서 명확하게 알아차리시고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일단 아이와 대화를 해 보시면서 지금 현재 그리고 요즘에 기분이 어떤 지에 대해서 물어보시는 게 중요합니다. 아이가 말을 하려 하지 않거나 얼버무린다면 이것은 분명 마음속의 상처가 깊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럴 때에는 절대 다그치지 마시고 아이에게 잘못이 아니니까 그리고 따뜻하게 안아주세요. 만약에 이러한 상태가 지속된다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담을 받아보시고 치료를 진행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아이에게 무슨 고민거리가 있는지 물어보면 좋겠습니다.

    소아도 우울증을 겪는다고 합니다.

    우울증이 있는 소아는 종종 활기가 없거나 신체적으로 활동적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특히 일부 어린 소아들에게는 과잉 활동과 공격적인 행위와 같이 겉으로 보기에 모순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소아들은 슬픔보다 짜증이 더 많은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합니다.

    아동 학대와 방임, 지나친 꾸중, 감정적인 체벌, 과도한 학습 부담 등을 피하는 것이 소아 우울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아이에게 우울증 증상이 나타날 경우 부모님이 바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와 보내는 시간을 늘리세요. 아이의 이야기를 귀담아듣고 충분히 호응해주세요.

    *아이와 같이 할 수 있는 활동을 하세요.

    *아이에게 무작정 강요하거나 밀어붙이지 마세요.

    *아이와 함께 꾸준히 운동을 하세요.

    *아이와 스킨십을 자주 해주세요.

    *혹시 부모님에게 우울증이 있는 건 아닌지 확인해보세요.

  • 정신적인 충격이 있었던거 같습니다.

    보통 몇일 지나면 없어지긴 하지만

    아빠가 살짝 가서 이야기 해보세요.

    친구랑 싸울수도 있다~ 때릴수도 있고 맞을 수도 있다

    세상일이 뜻대로 되지 않을수 있지만 더 슬픈건 우울해 있는거다

    이런식으로요.

  • 아이들도 감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울증이 올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아이의 감정을 잘 케어 해주셔야 되는데, 그전에 아이가 머리를 맞고 나서 그렇다고 하시면 머리에 손상이 왔을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따라서 아이를 데리고 병원진료를 한번 받아보시는걸 추천드리겠습니다. 아무렇지 않는다고 해도 깨끗하게 진료를 받고 아픈게 아니라고 확정을 받는게 정신건강에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아이가 친구에게 맞았다면 아이는 상처와 충격을 받았을 것입니다.

    아이의 심리적인 부분을 치유해 주는 것이 먼저 입니다.

    아이가 친구에게 맞고 상처를 받고 충격을 받았을 마음을 먼저 돌봐주도록 하세요.

    그리고 친구에게 맞았다면 그 친구에게 사람을 때리는 행동을 옳지 않아 라고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도록 하세요.

    아이도 우울증이 올 수 있습니다. 아이의 상태가 너무 심각하다면 센터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도 좋겠습니다.

  • 먼저 원인을 파악해 주시는 것이 중요할 듯합니다. 놀이터에서 있었던 일과 관련하여 아이가 지속적으로 불편함을 겪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 주시는 것이 중요하겠는데요. 학교생활 , 학원을 다니고 있다면 학원 생활까지 아이의 친구관계 등 아이와 충분한 대화를 통해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시며 아이의 상황을 알아봐주세요. 담임 교사와도 소통하셔서 학교에서의 생활은 어떤지 확인이 필요할 듯 합니다.

  • 단순히 현재 상황만으로 우울증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단순히 무언가 생각할것이 있다거나 혹은 감정적으로 다운되서 그럴수있습니다

    아동도 우울증이 올수있으나 이러한 단편적인 사건으로 우울증이 오기는 어려울수있겠습니다.

    잘다독이고 감정을 위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아이가 좀 놀래고 충격이 있었나 보네요.

    아이를 꼭 안아주며 괜찬아. 이겨낼꺼야. 네가 잘못한거 아냐~ 말해주세요.

    아이의 기분전환이 필요해 보여요.

    평소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이나 장소, 여행 등 가서 아이의 마음이 치유 될 수 있도록

    위로해주고 즐거운 시간 보내면 좋을듯해요.

    아이도 힘든것을 이겨내는 힘이 생길꺼니 조금만 기다려 주면 좋겠네요.

    만약 증상이 장기적이라면 말씀하신대로 우울증 일수 있으니 전문가의 도움을 받은것도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