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아름드리
아름드리23.02.14

아기는 언제까지 모유를 먹나요? 젖을 떼는 시기를 보통 언제까지로 보나요?

아기가 언제까지 모유를 먹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흔히 젖을 뗀다고도 하는 거 같은데 아기가 보통 언제 그렇게 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보통 12개월 이후의 모유는 영양가가 많이 부족해진다고 합니다. 이유식을 제대로 진행한 후 일반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첫 돌 이후에 천천히 젖을 떼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젖떼기는 점진적으로 진행하여야 아이가 욕구불만이나 분리 불안을 느끼지 않고 엄마도 갑자기 젖이 부어 생기는 고통을 피할 수있어요.자연스럽게 젖을 떼기위해 컵으로 분유나 우유먹이기, 수유시간이 되면 좋아하는 간식주기,흥미를 유발하는 책읽기등으로 아이의 관심을 모유에서 다른 것으로 돌리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여건이 되신다면 이유식과 병행하여 돌 이후까지 먹여주시는것이 아기와 산모 건강에 좋습니다.

    가능하다면 생후 6개월까지는 모유만을 먹이는 것이 꼭 필요하며.

    세계 보건 기구는 아기가 두 돌이 지난 후에는 젖을 떼야 한다는 의견을 갖고 있다.


    모유수유 기간이 짧으면 비만, 소아암, 크론병, 호킨스병, 알레르기, 염증성 대장 질환 등 을 포함한 건강관련 문제의 발생률이 높아진다는 광범위한 연구결과에 따른 것입니다. 빨리 젖을 때게 되면 엄마에게도 폐경 유방암, 난소암, 골다공증, 당뇨병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기에게 모유를 먹이는 기간은 통상 6개월 이상이며, 이후에는 유식을 시작합니다.

    하지만 모유수유가 아기에 많은 영양을 제공하고 면역력 강화와 질병 예방효과도 있기에,

    WHO 세계보건기구와 UNICEF 국제아동긴급구호기구에서는 최소 6개월 이상의 모유수유를 권장하고, 2세까지 지속하는걸 권장하기도 합니다. 이부분은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실 육아에 정답은 없습니다. 아이들 상황에 따라 그에 대한 답이 다릅니다. 보통은 15개월~16개월정도에 단유를 하기는 해요... 힘내세요..즙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아이를 배려한다는 느낌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12개월 까지는 모유 수유를 합니다.

    모유는 6개월이 지나면 영양분이 부족한데, 특히 철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유식을 이 때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모유수유는 12개월 정도 지속되며 분유의 경우 최대 36개월까지도 먹습니다.


  • 안녕하세요. 지아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은 6개월 무렵부터 아이가 활동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모유보다는 이유식을 권합니다.

    혼자서 움직이고 걸을 수 있게 되면 다양한 것에 흥미를 보임에 따라 모유 외에도 많은 식감과 맛을 탐색하기 때문인데요.

    그렇다고 6개월이 되었을 때 바로 아이에게 다른 이유식이나 음식을 권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무엇이든 아이가 스스로 원할 때 다른 자극을 통해 모유를 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체적인 활동이 잦아짐에 따라 신체가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도 하고, 여러 음식을 탐색하면서 모유보다 더 신기하고 다양한 것을 즐기게 된다면 자연스레 잊혀지기 마련이니 너무 걱정하시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보통 모유에서 젖병사용을 하기위해 시도하기도 합니다 아이들이 잠을 잘 때 젖을 물고 자기 때문에 그이유로 모유를 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유식하고 수유 텀이 줄어들면 모유는 영양분을 많이 주지 않는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