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까칠한허스키161
까칠한허스키16123.05.01

미국의 대규모 은행의 파산이유

안녕하세요.올해들어서 미국의 실리콘밸리가 파산하고 퍼스트리퍼블릭도 파산할지도 모르는거 같은데 중소기업도 아닌 손가락에 꼽히는 은행이 어쩌다가 파산하게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금주들의 예금인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보유하던 채권을 방매(fire sales)하게 되었고 금리가 급격히 오르면서 채권의 가치가 폭락하며 큰 손실을 보게 되고, 이로 인해 악화된 재무구조를 개선하고자 증자를 추진했으나 실패하면서 번개 같은 속도로 대규모 뱅크런이 발생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행의 파산원인은 직접적으로 살펴보게 된다면 '수익성'에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지난 코로나 시기에 미 정부의 보조금 정책으로 인해서 대출이 감소하고 저축이 증가하였습니다. 게다가 대출의 90%이상이 '고정금리' 구조이다 보니 은행들은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대출이자가 증가하지 않다보니 은행의 비용인 예금금리는 상승하고 은행의 수익인 대출은 고정금리이다 보니 오히려 수익성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게다가 해당은행은 고객 자산의 56%를 채권에 투자하였는데, 채권의 장점은 안정성이지만 지금과 같은 금리인상 시기에는 만기 전 매도로 인하여 채권이 손실이 발생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번에 파산의 시작이 되었던 미국 실리콘밸리은행의 파산과 관련해서 정리한 것을 순서대로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미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

    • 실리콘밸리은행이 매입한 채권의 가치 하락 (거래가격의 하락)

    • 실리콘밸리은행을 거래하는 스타트업 기업들은 금리상승으로 인해서 유동성 하락

    • 해당은행을 거래하는 기업들의 유동성 하락에 따른 예금 예치 감소 및 자금 사용 증가에 따른 예금인출 증가

    • 기업들의 예금인출을 위해서 보유중이던 채권 매도
      (대출채권 회수는 만기전에 불가능하기 때문에 빠른 자산 회전이 가능한 채권을 매도)

    • 채권의 만기 전 매도로 인하여 채권 손실이 발생, 이로 인해 은행의 손실 규모 확대

    • 실리콘밸리 내 펀드회사가 실리콘밸리은행의 상황을 SNS에 알리면서 예금자보호금액인 25만달러 이하 금액으로만 유지하라고 함

    • 실리콘밸리은행을 거래하는 많은 기업들이 한번에 자금 인출을 하려고 시도 (뱅크런사태)

    • 예금부족으로 인한 파산

    결국 미 연준의 금리인상이 발단이 되기는 하였으나 가장 핵심은 해당 은행들의 '수익성 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하여서 발생하게 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렇게 은행들이 파산 하는 이유는 RISK 관리에 실패 해서 입니다. 즉, 부도가 날 기업들에게도 은행에서 대출을 해주어서 자기 자본 비율을 낯추고 결국 대출 해준 돈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져서 입니다. 특히 SVB같은 경우는 실리콘 밸리의 벤처 기업들에게 많은 돈을 투자하고 회수 하지 못한 점이 파산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 은행들과 같은 경우 미국의 BOA, JP MORGAN 등의

    대형 은행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중소형은행입니다.

    미국이 기준금리가 낮았을 때에 고객들의 자금을 장기채권 등에

    투자하였고 이에 유동성이 부족하여져 파산한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리콘밸리, 퍼스트리퍼블릭 은행은 상호간 성격이 다소 유사한 은행들입니다. 주로 스타티업 등 중소기업을 상대로 금융상품을 판매하는 은행들이죠

    파산한 가장 큰 이유는 연준의 기준금리 상승입니다. 미국 은행들의 지급준비금은 주로 미국 국채인데, 기준금리가 지속 상승하면서 국채의 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이에 불안을 느낀 거래자들이 계좌에서 돈을 한꺼번에 인출하면서 지급 불능에 빠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은행은 미국과 지급준비금 등 구조가 달라, 아직은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