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억수로격렬한북극곰
억수로격렬한북극곰

사람이 가보지 못한 깊은 바다가 있나요?

바다도 엄청 깊고 넓으니 사람이 가보지 못한 부분이 많을 것 같은데,

그곳에서 사는 생명체에나 환경 특징 같은 건 아직 연구되지 않은 분야가 더 많은 거죠?

새로운 세계일 것 같아서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실제로 가장깊은곳인 11000m이상의 곳은 사람이 직접탐사하기는 힘들고 로봇이나 무인탐사정을 보내어 관측합니다.

    특히 해구나 열수구와같은 곳들은 지리상 좁거나 부딪힐수있는 위험이 더 많기때문에 탐사하기가 더욱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심해의 5000~11000m 구간은 기술이나 압력의 한계로 직접탐사가 매우 제한되고, 아직도 미생물부터 대형 무척추동물까지 미지의 생물군과 극한의 화학, 열 환경이 광범위하게 남아있습니다.

    특히 해구나 열수분출공, 콜드시프트 등의 영역은 에너지 대사방식과 생태계구조가 지상과 전혀달라서 지구 내 미개척 생태권으로 간주될 정도로 연구 공백이 크기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마리아나 해구에 대한 탐사는 20세기 중반부터 시작되어 여러 차례 수행되었습니다. 마리아나 해구를 비롯해 지질학적으로 독특하거나 유명한 몇몇 해역은 비교적 활발히 탐사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말씀하신 대로, 바다는 워낙 광대하기 때문에 아직 한 번도 탐사되지 않은 지역이 훨씬 더 많습니다.

    심지어 지상조차 제대로 탐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장소가 있을 정도이며, 바다는 탐사를 위해 필요한 비용과 전문성이 지상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특별한 필요성이 없다면 연구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 네, 말씀하신 것처럼 아직 인류가 탐험하고 연구하지 못한 부분이 훨씬 더 많습니다.

    이른 바 지구상의 가장 큰 미개척지로, 말씀하신 대로 새로운 세계와 같습니다.

    심해는 1,000기압이 넘는 수압과 암흑이라는 환경적 어려움 때문에 탐사가 매우 어렵죠. 그래서 과학자들은 수백만 종에 달하는 미발견 해양 생물이 심해에 서식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저 열수 분출공이나 냉수 침출 지역은 햇빛 대신 화학 물질에 의존하는 독특한 생명 공동체를 이루며, 이는 지상과는 다른 새로운 생태계 모델이죠.

    게다가 심해저 지형, 즉 지구 표면의 60%이상이 아직 지형조차 정확히 알지 못하는 않은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 때문에 심층 해양 순환과 해양 화학의 복잡한 과정은 지구의 기후와 탄소 순환을 분석하는데 필수라고 하지만, 아직 충분히 연구할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결론적으로, 심해는 생물 다양성은 물론 지질학적으로나 화학적 프로세스 등 모든 면에서 미개척 영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네, 말씀하신 것처럼 사람이 아직 도달하지 못했거나 직접 탐사하지 못한 심해 영역은 엄연히 존재하는데요 현재 기술로도 바다 전체를 완전히 탐사하지 못하고 있으며, 바다는 여전히 인류에게 가장 미지의 영역 중 하나입니다.

    지구 해양은 평균 수심이 약 3,700m 정도이고, 가장 깊은 곳은 약 11,000m에 달하는 마리아나 해구의 챌린저 심연 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류는 이 극히 일부만을 탐사했으며, 해양학자들은 지금까지 해저의 80% 이상이 아직 상세히 조사되지 않았다고 추정합니다. 탐사를 방해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극심한 압력이 있습니다. 누적 수심이 10,000m에 가까울 경우, 1㎠당 1톤 수준의 압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빛이 도달하지 않는데요, 대부분의 심해(수심 약 1,000m 이하)는 완전한 암흑입니다. 이런 이유로, 심해는 우주보다 탐사된 비율이 낮다는 말도 있습니다.

    심해는 우리가 아는 생태계와 매우 다른 특징을 지니며, 인간이 한 번도 직접 관찰하지 못한 생물이 여전히 존재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태양 에너지 없이도, 해저 열수 분출공 근처에서는 박테리아가 황 화합물을 기반으로 화학합성을 하고, 이를 먹이로 하는 생물들이 독립 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네, 바다의 80퍼센트 이상은 아직 탐사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특히 수심 200미터 이하의 심해는 높은 수압, 어둠, 저온 환경으로 인해 인간의 접근이 극도로 제한되며, 따라서 해당 지역의 환경적 특성이나 서식하는 생명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고 미지의 영역이 훨씬 더 넓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