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그만좀합시다
그만좀합시다19.11.27

인류 최초로 우주비행을 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비록 귀환하지는 못했지만 최초로 우주비행은 동물이 한 것으로 아는데 그렇다면 인간 중 최초로 우주비행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려있는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1.최초의 우주인, 유리 가가린

    1961년, 옛 소련의 공군 대위 유리 가가린이 보스토크 1호를 타고 세계 최초로 지구를 한 바퀴 돌았습니다. 유리 가가린은 우주에서 지구를 본 뒤 ‘지구는 푸른 빛깔이었다.’라는 말을 남겼지요.

    2.세계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한 우주인은 누구일까요?

    1968년, 아폴로 8호가 우주인 세 명을 태우고 달 주위를 도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 이듬해인 1969년 미국의 우주인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아폴로 11호를 타고 세계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했지요. 이들은 달에 약 21시간 동안 머물면서 암석을 모은 뒤 무사히 지구로 돌아왔습니다.


  • “지구는 푸른빛이다. 멋지고, 경이롭다.

    인류 최초로 우주에서 직접 지구를 바라본 구소련의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Yurii Alekseevich Gagarin, 1934년~ 1968년)이 남긴 말이다.

    1961년 4월 12일 우주선 ‘보스토크1호(Vostok 1)’에 탑승한 가가린은 우주에서 108분 동안 지구를 한 바퀴 비행하고 다시 지구로 돌아왔다. 이는 20세기 우주시대를 연 중요한 사건 중 하나였다. 인류가 우주를 향해 첫발을 내디뎌 우주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한 역사적인 사건이기 때문이다. 이를 계기로 사람들은 우주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됐고 나라마다 우주개발에 더 많은 비용과 노력을 쏟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은 더 위협적인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우주기술, 특히 로켓기술로 눈을 돌리게 됐다. 소련과 미국이 치열하게 우주개발 경쟁을 하는 사이에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먼저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해 우주궤도에 올리는 데 성공했다. 큰 충격을 받은 미국은 그로부터 20일 후 인공위성 발사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1958년 1월 31일 미국은 드디어 ‘익스플로러 1호’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미국이 첫 인공위성 발사에 급급한 사이 소련은 1957년 11월 3일 스푸트니크 2호에 ‘라이카’라는 개를 탑승시켜 동물의 첫 우주비행을 성공시켰다. 라이카의 희생으로 생물이 우주비행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소련은 그 후 1961년 4월 21일 ‘동방’이라는 뜻의 보스토크1호에 인류 최초로 사람을 태워 우주비행을 성공시켰다. 소련은 최초 인공위성 발사뿐만 아니라 최초 유인 우주비행까지 성공해 미국과의 경쟁에서 승리하며 우주개발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시작했다. 이에 맞서 미국은 항공우주국(NASA)을 설립하며 우주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지속되는 경쟁 가운데 소련과 미국의 다음 경쟁목표는 달이었다. 두 나라는 달을 향해 수많은 탐사선 발사를 시도했다. 결과적으로 ‘아폴로 11호’에 탑승한 닐 암스트롱 (Neil Alden Armstrong, 1930년 ~ )이 달에 첫발을 내딛으며 달 착륙 경쟁에서는 미국이 승리했다. 소련과 미국이 우주개발에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사이 프랑스, 일본, 중국, 영국, 인도 등 여러 나라가 우주개발에 참여해 그 뒤를 추격하기 시작했다.

    보스토크1호는 사람이 탑승해 지구로 돌아오는 귀환캡슐과 캡슐을 이동시키는 기계선으로 이루어졌다. 1961년 4월 12일 소련에서 발사된 보스토크1호는 태평양을 지나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상공을 통과해 지구를 한 바퀴 돌아 다시 소련에 착륙했다. 우주비행을 하는 108분 동안 가가린은 지상과의 통신을 통해 자신의 몸 상태와 계기판에 나타난 우주선 상태를 지속적으로 지상에 보고했다. 가가린은 우주선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노래를 휘파람으로 불 정도로 여유롭게 우주비행을 했다.

    출처: https://www.scienceall.com/%EC%B5%9C%EC%B4%88%EC%9D%98-%EC%9C%A0%EC%9D%B8-%EC%9A%B0%EC%A3%BC%EB%B9%84%ED%96%89-%EC%A7%80%EA%B5%AC%EB%8A%94-%ED%91%B8%EB%A5%B8%EB%B9%9B%EC%9D%B4%EB%8B%A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