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에서 5만원 축의금 내면 이상한가요?
그냥 아는 지인인데 친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일적인 업무때문에 계속 보기는 볼사이인데 축의금을 5만원해야할까요? 그래도 체면세운다고10만원은 해야할까요?
10만원하라는 사람들도 있어서 고민이네요
결혼식에서 축의금은 관계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죠..
별로 친하지도 않고 그냥 아는 지인 정도라면 5만원도 충분히 괜찮은 선택이라고 생각해요
솔직히 제 생각에는 친하지 않다면 5만원이 부담스럽지 않으면서도 예의가 지켜지는 금액이라고 생각해요!
10만원을 권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건 좀 더 친밀한 관계에서 그렇지 않나 싶어요. 결국 중요한 건 상대방에게 부담이 되지 않으면서 본인이 편안한 마음으로 축의금을 내는 거죠.
일적인 관계에서 앞으로도 자주 보게 될 것이라면,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5만원으로 결정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자신이 부담스럽지 않은 금액으로 축하의 마음을 전하시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나는 거물이 될 사나이입니다. 참석을 한다면 10만원 이상, 참석을 안 하신다면 5만원 괜찮지만 저였다면 그냥 10만원 할 것 같네요
앞으로 계속 보실사이라면 불참 의사 밝히시고 5만원만 하셔도 될듯 합니다;
참석하신다면 요즘 비싼식대 고려해서 10만원은 하시는게 좋고요
참석하지 않고 5만원이 적당한것 같습니다 참석을 꼭 해야하는 자리라면 10만원이 마음이 편하실것같습니다
슬슬 찝찝한 느낌이 오는거 그거 아시죠
참석한다면 식사나 답례품을 받을것 아닙니까? 고로 10만원은 축의금으로 내셔야할듯 합니다
사실 요즘 돈값어치가 없어서 5만원은 좀 그렇네요
참석하지 않고 5만원 내면 될거 같아요. 업무상 마주치는 정도면 기본 축의만하고 안가는게 더 맘도 편하고 몸도 편할거 같단 생각이 드네영 ㅎㅎ
안녕하세요
결혼식을 참석하시면 10만원을 하는게 맞는거같구요
참석하지 않을꺼라면 5만원하시면 될꺼같은데요
계속 볼사이라면 개인적으로는 참석해서 10만원을 할꺼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마리마리김말이입니다
별로 안친하고 다시 안볼 사이 이거나 질문자님 결혼식때 초대를 안할거 같으면 5만원도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금액보다 축하의 마음이더중요하다생각해요
근데요즘세상은 평생한번하는 결혼식에 빈정 상하지않게 할려는 마음도있으니 친할수록 좀더생각해야할듯
축의금만 하신다면 5만원도 괜찮을꺼같습니다.
친하지 않다면 그냥 예의상 5만원만 보내시고 쉬세요
굳이 가셔야 된다면 10은 하셔야 될껍니다
요즘 식대가 많이 비싸져서 5만원내고 가시면
나중에 욕만 드실수 있으세요
아는 지인정도면 불참의사 밝히시고 5만원만 보내셔도 될 것 같습니다.
성의표시 정도만 해주셔도 나쁘지 않을 듯 합니다.
저라면 일때문에 불참한다는 의사만 밝히고 축하한다고 5만원보낼 것 같습니다.
축의금만 내실거면 5만원도 좋을것 같습니다만 결혼식장에 가시셔서 직접 축하하고 식사까지 하시면 아무래도 적은 느낌이 나긴 합니다 ㅠ
결혼식에 5만원 축의금내면 이상한가요 ?
별로 친하지도 않으면서 가끔은 없무적으로 볼수 있다면 축의금 5만원만 해도됨니다 .
결혼 축하해주는건데 돈이 많고 적음이 어디있겠어요 .
아예 안하면 나중에 또볼수 있으니까 5만원이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너무 가깝지 않은 사이면 5만원도 괜찮을 것 같고, 오래 관계를 이어나갈 것이라면 10만원이 좋을 듯 해요. 식사 하시면 10, 안하시면 5도 괜찮을 것 같네요
저의 경우 친하게 지내는 사이면 십만원하고, 아는 지인은 오만원 정도 합니다. 친한 친구중 절친은 이십만원 하고 있습니다. 참고 하시고 본인이 하고 싶은데로 히시면 될거 같아요
결혼식 축의금으로 아주 친한사이 같으면 10~30만원 정도. 그냥 인사치레하는 축의금은 보통 5만원이 적당하겠지요. 그렇다고 안할 입장이 아니면 시도해보셔도 괜찮을듯하네요.
친하면 10만원, 안친하면 5만원 정도 내면 될거 같아요.
그리고 식사와 관련해서 드시고 오시면 10만원, 안드시면 5만원요.
요즘 식사비가 비싼데 5만원 값어치는 안하지만 보통 5, 10, 20 단위로 축의금을 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5만원 아님 10만원을 내야한다는 의견입니다.
요즘은 예식장 음식비도 너무 올라 5만원 하기가 좀그렇습니다. 최소한 밥값은 내야 하니. 요즘은 점차 참석하면 10만원. 미참석시 5만원 정도 되는것 같습니다.
이게 고민이 된다는 것부터가 10만원을 해야 껄끄럽지 않을 거 같네요 진짜 5만원을 축의하고 아무렇지 않을 수 있는 분이라면 이런 문의도 안 하지 않을까요 그냥 술 한 번 덜 사 먹는다 치고 10만원 하고 마음의 평안을 얻으시길 바라요
안하기는 껄끄럽고 하자니 부담되고 ᆢ 그냥 참석안하시고 5만원정도 하니면 좋을듯 하네요~ 또 얼굴 봐야하니 인사치레는 하는게좋을거같아요~
안녕하세요
친하지도 않고그냥 얼굴말 트는 사이고 결혼식장 가서 축하해주는 정도면
오만원이면 충분한듯 합니다 헌데 요새 밥값이 오만원이 넘는 곳이 많아서
밥값보다 적게 낼거면 안가시는게 오히려 나을듯 합니다
그냥 아는 지인인데 친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일적인 업무때문에 계속 보기는 볼사이인데 축의금을 5만원해야할까요? 그래도 체면세운다고10만원은 해야할까요?
10만원하라는 사람들도 있어서 고민이네요
다른 분들은 얼마나 하는지 맞춰하면 될꺼같아요
특별한 친분이 없다면 5만원만 해도 될듯합니다
저의 소견으로는
지인이 그리 친하지 않다면
방문 안하면 5만원
방문 한다면 10만원 내고 합니다
이점 참고하시길 바라며
언젠간 뿌린데로 다 거두니
편안하게 생각하세요
오만원 내셔도. 됩니다.
대신. 말한마디에. 천냥빚을. 갚는다는
얘기가 있조
진심으로. 축하한다는 말과함께. 축의금. 조금 내서. 미안하다고. 하시면 됩니다
본인에. 경제사정에 맞게 내야. 현명한
행동입니다
보통 요즘 결혼식 뷔페 가격이 5만원이 넘는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아무리 친하지 않아도 결혼식에 가면 10만원, 가지 않으면 5만원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요즘 물가를 감안한다면 축의금을 받으시는 분이 썩 기분이 좋을거라고는 생각안되네요 요즘 결혼식 뷔페 평균 1인가격이 보통 6~9만원 수준이라고 하네요 물론 지역ㅇ에 따라서 차이가 많기느 ㄴ하겠지만 오히려 결혼식날 그분이 작성자님에게 식사를 사주는 상황이 되버리는거니깐요
그냥 아는 지인인데 친하지는 않고 일적인 업무때문에 계속 보기는 할때 5만원이면 될것 같습니다 형편이 여유있으시연 10만원 하시면 좋고요
축의금은 딱히 정해진 금액은 없어요.
사회통념상 상황을 봐가면서 하면되는데 참 애매한게 요즘 5만원은 부족한것 같고, 10만원은 절친도 아니라서 좀 아깝고...
제 생각은 만약 결혼식에 참석하게 된다면 10만원을 하시고 불참할시에는 5만원이 적당할것 같아요.
공과사는 구분되기에 방문 하실꺼면 10만원 내시고 미방문 하실거면 5만원 내시는게 마음 편할겅 같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보통 축의금은 예전에는 5만원 10만원 이렇게 했습니다.
요즘에는 물가가 많이 올라 식대가 4만원~ 이상이 기본이기 때문에
혹시 참석하지 못하였으면 모바일로 받거나 했다면 5만원 보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만,
뷔페를 이용한다면 조금 더 성의를 보여서 10만원 하는게 좋아보입니다.
또한 축의금은 내가 낼때 5만원이면 받을떄도 5만원이라고 생각하는게 좋습니다.
친하지 않을 경우는 5만원도 상관없죠 가서 밥먹을것도 아니면, 인사치레 정도만 하면 되는거니까요. 근데 참석하시게 되면 10만원인듯합니다.
친분을가지고있지않다면 5만원이 맞습니다. 하지만 업무때문에 봐야하는 사이라 결혼식 참석하게된다면 식사비때문에 10만원내야합니다. 참고로 참석할경우 식사비가 비싸다면 식대금액보다 조금 더 해야하니까 10만원+ 될수도있습니다.
만약에 결혼식을 참석하지 않으시면 제가보기엔 5만원만 내셔도 무방하구요 만약에 결혼식에 참석하시고 식권까지 받으실 생각이시면 최소한 10만원은 내셔야 될꺼 같습니다!
결혼식에 가실거면 식사비용도 있고 볼사이니까 10만원 하시고 안갈꺼면 5만원 하셔도 될것 같습니다. 답은 없으니까 잘 판단하셔요.
결혼식 참여하고 식사를 한다면 5만 원은 적다고 생각합니다. 결혼식 안가고 축의금만 낸다면 5만 원만 해도 충분 하다고 생각합니다.
지인이 일적으로 아는 사이라면 결혼식 축의금은 글쓴이 님이 결혼식 참석시에는 10만원, 참석하지 않고 축의금만 전달시 5만원 하면 될듯 합니다.
보통은 기본적인 관계 5만원만 내도 됩니다!
5만원 낸다고 해서 서운하게 생각한다면
그냥 그 상대방도 애매한 사람일것 같아요!
친하면 당연히 10만원이상이지만..애매한
관계니까요!
그래도 신경쓰이면 5만원내고 그날 약속있다고
안가시면 될듯합니다
요즘은 결혼식장 식대가 많이 올랐다고 하네요.
따라서 요즘은, 결혼식에 참여해서 축하해주신다면 5만원은 다소 적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는 5만원이어도 괜찮았지만요.
결혼식에 참석하신다면 10만원 정도, 그리고 참석하지 않고 축의금만 전달한다면 5만원만 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언제난 당신 편입니다. 결혼식에서 축의금은 일반적으로 그냥 사이 5만원, 친한 사이 10만원 , 가족은 20만원 이상입니다. 일적인 업무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면 5만원 하시면 됩니다.
금액이 중요하긴합니다만 마음이 더 중요합니다. 5만원내시고 요즘 어려워서 미안하다 한마디면 충분 할거 같습니다. 다 이해해 줄거에요
5만원만 내도 됩니다 당사자입장에서 와준것만해도 고마워요 날 축하해주기위해 시간쓰고 돈쓰는거니깐요 걱정하지마세요 5만원이면 웨딩홀따라서 식비도 안나오는경우도 많긴하지만 그게중요한게아니니깐요 당신의 축하에는 그이상의 가치가있어요 돈보단 진심으로 축하해주세요
당사자로 생각하면 단돈 5만원도 고마워 할수도 있어요 그래도 그나마 일적인 관계인것에도 신경을 써준거라 생각을 할수 있잖아요
요즘은 부담스러우면 안내고 안가는것 같드라구요
오만원 내고 안가셔도 됩니다
어차피 품앗이인데
5만원내고 5만원받으면 되기때문에 상관없습니다.
못받을거면 더더욱상관없습니다
그 정도 사이라면 오만원 정도는 괜찮지않을까 생각됩니다. 다만 업무와 관련하여 직접적으로 계속 대면한다면 비슷한 상황의 동료들과 의견을 나눠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결혼식에 5만원의 축의금을 낸다고해서 전혀 이상하지 않습니다. 질문자님의 판단으로 축의금을 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결혼식 참석하셔서 많이 축하해 주세요.
그리 친한 사이가 아니라면 5만원이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가을에 결혼식이 많긴 하죠! 어떤 경우에는 안가기도 하잖아요!
축의금이 적다고 고민마셔요!
마음을 전하고 정을 나누는거죠~
축의금ㅈ은 형편에 맞게 해야겠지요! 무리하시면 서로에게 부담이 될것입니다. 받는사람도 나의 여건을 알것이기에 5만원이면 어떻습니까! 마음을 전하는게 정이잖아요~~
친하지않은 사람이면 5만원하셔도 되고 그래도 자주보는사람이면 10만원은하셔야 면목이 설거같아요. 요즘 물가도 넘많이 올라서 모든게 다부담이네요 서로안받고 안주는 문화이면좋겠어요..
참석하지않고 축의금만 전달하시면 5만원만 내면 될듯하고 가면 밥값이 요즘 비싸기 때문에 10만원은 내야하지않을까요?
그리고 계속 부딪혀야하는데 적게 내면 좀 그럴거같네요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더라고 일적으로 만나는 사람이라면 10만원을 해도 괜찮지 않을까 합니다, 일적으로 만나는 것 때문에 신경이 쓰일 수 있네요
안녕하세요 지금 질문자님이 말하신 정도의 관계라면 5만 원만 내도 될 것 같습니다 굳이 10만 원 낼 필요 없을 것 같고요 만약에 다른 동료들이 있다고 하면 비슷하게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긴 합니다
사람마다 주머니 사정이 모두 다릅니다.
축의금을 무조건 내야 결혼식에 참석했다고 가주한다, 성의가 없다 등등 조금 이상한 풍토입니다.
금액으로 사람을 판단한 것은 어느 잣대로 놓고 다른 사람이 하니까 그렇게 해야지라는 풍토 같습니다.
요즘 결혼식 비용도 만만치가 않습니다.
한번 뿐인 결혼을 후회없이 하려고,
진작 어떤 것을 해 보면
나중에서야 그러 안했어야 하는데 하고 후회가 남더라구요.
10만원이든 5만원이든 본인의 걸맞는 생활로 하시면 될것같습니다.
진정 중요한거 마음입니다.
친하지 않은 아는 지인의 결혼식 축의금때문에 고민이시군요.
참석하지 않는다면 별로 친하지도 않고 하니 5만원도 충분히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결혼식에 참석하신다면 10만원을 생각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고요.
업무로 보는 지인의 경우 결혼식에 직접 가지 않는다면 축의금으로는 오만원 정도는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결혼식을 가게된다면 십만원은 해야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메리카노시럽두번233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려요 아무래도 결혼식에 축의금 5만 원을 내고 간다면 진짜 기분 나쁠 것 같은데 만약에 참석을 안 했으면 5만 원 하는게 맞을 수도 있는데 참석을 했는데 5만 원 내면 오히려 상대방이 더 손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