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당당한까치165
당당한까치165

갭투자의 원리에 대해서 쉽게 설명해줘요

갭투자의 원리는 어떻게 돌아가는 지 전세가와 매매가의 관계와 연관지어 알려주세요. 그리고 무갭투기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지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갭투자는 전세세입자를 낀 매매입니다. 예를 들어 주태가격 3억인데 현 세입자가 살고있고 해당 세입자 보증금이 2억이라면 매매시 보증금을 인수하는 조건으로 실질적으로 1억만 내고 주택 소유권을 가져오는 것입니다.

      여기서 무자본 갭투자란 말그대로 시세비교가 용이하지 않은 빌라나 단독주택에 대해 전세세입자 보증금이 매매가격보다 높은 경우를 말합니다 . 개념에 차이가 있겠지만 깡통전세의 경우가 대표적인 무자본 갭투자가 가능한 경우로 보시면 됩니다. 위에서처럼 전세세입자 보증금이 2억인데 실제 매매가격이 1억 9천만원이 되어 매도자에게 천만원을 받고, 세입자 보증금 2억을 인수하여 소유권을 획득하는것을 말합니다,

      말도 안되는 것 같지만 실제 아파트가 아닌 빌라등에서는 주택가격이 하락하면 종종 벌어지는 경우이고 해당 부분이 현재와 같이 전세사기로 이어지게 된 이유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1. 갭투자라는 것은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차이를 이용한 투자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매도가격이 1억원이고 전세가격이 7000만원인 경우 3000만원 만을 가지고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방법은 부동산 가격 활황기에는 좋은 투자방법이 될 수도 있지만 현재처럼 불경기인 경우에는 위험한 투자 방법입니다.

      2. 부동산 불경기에 무갭투자도 발생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임차인이 퇴거를 하는 경우 퇴거 자금 준비를 해야 하는 위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갭투자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매매가가 5억인 아파트가 있고 전세가 3.5억이라고 가정을 하면

      자기자본 1.5억을 가지고 전세보증금 3.5억을 받아서 집을 매수하고 집을 소유하는 개념입니다.

      그러다 집값이 7억이 투자금 1.5억 넣어서 양도차액 2억을 버는 구조인데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얼마 안나는 매물을 매수해서 매매가 올라가면 매도해서 수익을 내는 구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매매가 3억이 되어버리면 전세 보증금도 못내주고 2억을 손해보는 구조가 되어 버립니다.

      갭투자는 부동산 상승기에는 어느정도 수익이 나지만 반대로 지금처럼 하락기에는 전세보증금을 못줘서 전세사기로

      몰릴 수 도 있을 만큼 위험한 투자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매매가와 전세가가 많이 차이가 안나는집을 전세끼고 사는겁니다

      그래서 잔금일에 전세가를 뺀 나머지를 잔금지급하고 등기완료하는겁니다

      그렇게 사는 것을 갭투자라고 표현합니다

      무갭투자는 집을 샀는데 전세가가 집값과 비슷하거나 더높을때 본인의 자본금이 안들어가는 경우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갭투자란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를 활용하는 부동산 투자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한 아파트의 매매가가 10억이고 전세가가 8억인 경우, 투자자는 2억의 ‘갭’을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즉, 투자자는 2억을 내고 아파트를 산 후, 8억에 전세를 내어 전세보증금을 받습니다. 그러면 투자자는 2억으로 10억짜리 아파트를 소유하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아파트의 가격이 오르면, 투자자는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아파트의 가격이 떨어지면, 투자자는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갭투자는 임대차 보증금과 매매 가격과의 차이의 갭으로 투자를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