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아티닌 수치가 원래 다르게 나오나요?
2021년 건강검진에서는 크레아티닌 수치가 1.21이 나왔고 2023년 8월에는 1.3이 나왔습니다.
2년간 변한거라고는 많이 없습니다.
2023년 2월부터 헬스를 하기 시작했고 근육량이 많지는 않지만 옷을 입으면 사람들이 운동하냐고 물어는 볼 정도입니다.
크레아티닌 수치가 1.3이 나온 후 걱정되어 2주 뒤 내과에 가서 피검사를 했습니다.
소변 검사도 동시에 진행했는데 혈뇨, 단백뇨를 비롯한 수치와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도 정상이라고 말씀하시더라고요.
내과 결과로 나온 크레아티닌 수치는 기억이 잘 안 나네요...ㅠ
의사 선생님께선 근육량이 많으면 좀 높게 나올 수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저는 제 몸에 근육량이 많지는 않다고 생각돼서요. 근육량이 많은 것의 기준을 잘 모르겠어요
검진 시점의 차이는 건강검진에서는 물 포함 금식이었다는 것과 내과에서 검진했을 때는 물을 한 컵 정도 마신 후 검사했다는 것 밖에 없습니다.
신장 기능이 정상인데 크레아티닌 수치가 1.3이 나올 수가 있나요?
또 재검 했을 때 정상이었다면 전에 나온 1.3이라는 수치는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제가 건강염려증이 있어서 계속 신경쓰이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근육량이 많을수록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게 나올 수 있으며, 이는 운동을 시작한 이후 근육량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크레아티닌 수치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며, 근육량, 식습관, 탈수 상태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변동될 수 있습니다.
1.21에서 1.3으로의 증가가 큰 차이는 아니며, 특히 신장 기능 검사에서 다른 모든 결과가 정상인 경우, 이 정도의 차이는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건강검진과 일반 병원 검사 사이에 금식 여부나 수분 섭취량의 차이도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근육량이 많다는 기준은 명확하지 않지만, 헬스를 시작하고 근육량이 약간 증가한 것이 크레아티닌 수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우선 담당선생님을 만나지 않았다면 모를까
담당선생님을 만나셨고 특별한 이상이 없고 수치가 높아보이는 것은 근육때문에 그렇다
이렇게 들으셨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치가 상한치인 것이 마음에 너무 걸린다면
담당선생님께 상의를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