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훈민정음과 지금의 한글에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만들었을때도 지금의 한글과 모양이 똑같았었나요? 예전에 보닌깐 글자에 점이 하나 더 찍혀있고 그랬었던것 같은데 훈민정음과 지금의 한글에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훈민정음과 한글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훈민정음은 1443년 창제, 1446년 반포한 훈민정음 해례에서 기술한 그 자체를 말합니다. "천지자연의 모든 소리를 표현할 수 있는 문자"를 말하며, 표현할 수 있는 음절의 수는 초성 5219 x 중성 1463 x 종성 5220 = 약 399억 음절글자입니다.
한글은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이 제정된 이후 현재까지 쓰고 있는 훈민정음의 원칙을 부분적으로 따르고 있습니다.
초성 19자 x 중성 21 x 종성 28자 = 11172 음절을 표현할 수 있는 글자를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단 먼저 훈민정음은 28자이고, 한글은 24자입니다. 그리고 훈민정음은 ㄱ,ㅋ,ㅇ,ㄷ,ㅌ,ㄴ,ㅂ,ㅍ,ㅁ,ㅈ,ㅊ,ㅅ,ㆆ,ㅎ,ㅇ,ㄹ,ㅿ 순이었지만, 한글은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순입니다. 또한, 훈민정음에 있던 아래아(ㆍ), 반치음(ㅿ), 옛이응(ㆁ), 여린히읗(ㆆ)은 현재 사라졌습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