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섹시한태양새79
섹시한태양새79

관세 때문에 일자리가 늘어난다고 하는데 진짜인가요?

미국에서 관세 높이면 공장이 돌아가서 일자리 늘어난다고 하던데, 이게 실제로 맞는 얘기인지 헷갈려요. 그냥 정치적인 얘기만 듣는 느낌인데, 실제로 일자리가 바뀌는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관세를 올리면 일부 업종에서 해외 대신 국내 생산을 늘리려는 움직임이 생겨 일자리가 늘 수 있다는 논리가 있긴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원자재나 부품 가격이 오르면서 제조업 전반 비용 부담이 커지고, 기업이 투자나 고용을 줄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통계적으로 보면 관세로 특정 지역 공장 일자리가 잠깐 늘어난 사례는 있지만 전체 경제 차원에서 일자리 창출 효과가 뚜렷하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갑론을박이 있습니다. 트럼프는 관세부과로 수입물가가 상승한다면 미국에서 제조하는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논리입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트럼프의 푸쉬도 존재합니다. 다만, 이러한 미국의 제조업의 원재료도 결국 대부분 수입을 하여야되기에 미국의 인건비를 고려하였을때 크게 남는 장사가 아닐 수 있습니다. 아울러, 관세로 인하여 인플레이션 증가 및 미국 경제가 망가진다면 오히려 악영향이 더 크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관세가 오르면 수입품 가격이 높아져서 국내 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런 흐름이 제조업 가동률을 올려 일자리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논리가 나옵니다. 하지만 실제 고용 효과는 생각보다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자동화와 해외 생산 기지가 이미 자리 잡은 상황이라 단순히 관세만으로 국내 공장이 예전처럼 활발히 돌아가기는 어렵습니다. 특정 업종에서는 단기적으로 채용이 늘 수 있지만 다른 산업에서는 원가 상승 부담 때문에 오히려 인력 감축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관세 정책은 소비자 물가와 무역 보복 리스크까지 동반되므로 고용 증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관세부과정책으로 미국내 일자리는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여러 국가들이 미국에 대한 투자를 통해 상호관세를 낮췄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 공장이 지어지고 이에 따라 미국 내 일자리의 증가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예상과는 달리 소비자 부담 증가와 글로벌 공급망 악화로 인해 일자리 증가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