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래 아이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호자 놀이를 즐기는 아이를 돕는 방법은?
아이가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해서 걱정이 됩니다.
아이가 또래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노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모로서 걱정이 되는데, 이런 아이의 사회성을 키우기 위해 집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나 놀이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함이 큰 이유는
아이의 기질적인 부분의 문제가 있어서 입니다.
아이의 기질적인 부분의 문제의 특징은 아이의 소심하고, 소극적이고, 부끄러움이 많고, 숯기가 없고,
내성적이고, 내향적인 성향이 짙기 때문 입니다.
이런 기질을 가진 아이들은 대개 새로운 사람. 새로운 환경에 낯가림이 심해 예민하고 민감함이 폭발 합니다.
우리 아이가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아이와 함께 역할극을 하면서 상황에 적절한 언어.제스처. 행동 및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자신의 의견을 제시해 보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아이가 혼자 노는 것을 즐긴다고 해서 반드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적 상호작용이 부족하면 자신감과 표현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를 돕기 위해 부모는 역할놀이를 통해 다양한 상황을 함께 연습하고, 아이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인형극, 가게놀이, 가족놀이 등을 통해 대화의 흐름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또한 감정 표현이 담긴 그림책을 함께 읽고, 등장인물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활동도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부모가 아이의 말을 경청하고, 지나친 지적보다는 공감과 격려를 중심으로 반응하면 아이는 점차 타인과의 관계에 자신감을 갖게 됩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아이들 말에 귀를 기울여주기, 지나친 지적 피하기, 부모와 타인 관계를 보여주기 등을 통해서
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혼자 노는 아이도 자신만의 관심과 상상력을 발달시키는 과정일 수 있습니다.
집에서는 역할 놀이, 가족 참여 게임, 간단한 협동 놀이를 통해 사회적 경험을 조금씩 늘릴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관심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친구와 소규모로 만나는 경험을 만들어 주면 부담 없이 사회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부모가 모범적으로 감정 표현과 의사소통을 보여주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혼자 놀기 선호는 성격적 기질일 수 있어 억지로 친구 사이에 넣기보다 집에서 역할 놀이 순서 기다리기 등의 기본 사회 기술을 먼저 연습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작은 모임부터 시작해 1대1 놀이를 제공하면 성공 경험이 쌓여 또래 관계로 자연스럽게 확장됩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주제를 활용해 부모가 먼저 공동놀이 모델을 보여주면 사회적 신호 읽기와 상호작용 방식이 빠르게 인정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혼자 노는 것을 좋아한다고 해서 꼭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자연스럽게 또래와 어울릴 수 있도록 '부담 없는 연습 기회'를 만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집에서는 역할놀이처럼 번갈아 말하기, 기다리기, 상대 반응 살피기 같은 기본 사회기술을 놀이 속에 넣어 연습시키면 효과가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