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갸름한원숭이116
갸름한원숭이11623.01.28

명목과 실질 금리는 어떻게 다른가요?

금리의 종류 중에서 명목 금리와 실질 금리가 있던데, 이 둘은 어떻게 다른가요?

명목 금리와 실질 금리는 언제 사용되는 개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 금리는 공식적으로 선정된 금리를 의미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정부나 중앙은행에서 선정하는 금리입니다. 이 금리는 통화정책, 경제정책, 인플레이션 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실질 금리는 명목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금리를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은 국민의 생활 비용을 올리는 요인입니다. 실질 금리는 이를 고려한 금리로, 실제로 은행이나 금융기관이 적용하는 금리를 의미합니다.

    명목 금리는 경제정책을 수립하거나 경제 상황을 파악할 때, 실질 금리는 금융기관이나 은행이 적용하는 금리를 알아볼 때 사용됩니다. 명목 금리는 경제 정책적인 측면에서 사용되며, 실질 금리는 고객의 실제 이자 비용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질금리는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여 산정되며 명목금리는 물가상승률이 고려되지 않습니다. 실질금리는 표시금리인 명모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빼는 방법으로 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는 '인플레이션'을 반영하느냐 혹은 반영하지 않느냐의 차이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 명목금리
      인플레이션을 감안하지 않은 금리

    • 실질금리
      [명목금리-인플레이션율]로서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금리

    보통 명목금리는 대출이나 혹은 예금금리를 고시할 때 많이 사용되는 이자율입니다. 이에 반해서실질금리는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금리이다 보니 예금이나 대출이 실제로 어느정도의 비용이나 이익을 받게 되는지를 계산하게 되는 경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서 예금금리가 4%인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율이 5%인 상황이라면 실질금리는 -1%가 되어 예금을 하더라도 오히려 손해가 되는 것이며 반대로 예금금리가 3%인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율이 1%인 상황이라면 실질금리는 2%가 되어 이익이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 이자율은 인플레이션을 조정하지 않은 명시된 이자율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실질 이자율은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고려하고 실제 차입 비용을 반영하도록 조정됩니다. 명목 이자율과 실질 이자율의 차이는 명목 이자율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돈의 구매력 변화를 설명하지 않지만 실질 이자율은 설명한다는 것입니다.

    명목 이자율은 돈을 빌리고 빌려주는 것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사용되며 종종 대출에 대한 이자율을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실질 이자율은 저축과 투자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사용되며 종종 서로 다른 투자의 상대적인 매력을 비교하는 데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금리와 같은 경우에는 표면 상의 금리를 뜻하며

    실질금리와 같은 경우에는 명목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뺸

    수치를 의미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 금리는 화폐 1단위를 일정 기간 동안 빌리는 대가로 지불한 화폐액으로서 이자를 원금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합니다.

    실질 금리는 인플레이션을 감안하기 위해 명목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값으로 이자의 실질 구매력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