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밀가루가 물을 흡수하는 이유는 어떤 원리때문인가요?
흔히 컵라면을 먹으려고 물을받아두고 전화나 다른일을 하다 시간이 상당히 지난후에 열어보게되면 면이 물을 흡수해서 국물이 거의 없는 경우를 보신적이 있으실겁니다.
질문드립니다.
밀가루가 물을 흡수하는 이유는 어떤원리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밀가루는 약간의 친수성을 띄고있어 액체를 넣고 섞게 되면 액체를 흡수하여 단단하던 밀가루 알갱이들이 부드럽게 됩니다.
밀가루와 액체가 혼합되면 글루아덴과 글루테닌이 결합해 글루텐이 형성되며, 탄성이 생겨 우리가 아는 밀가루 반죽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밀가루는 수분이 없는 상태인데 삼투압이라고 하는 원리에 따라 물과 농도를 맞추기 위해 물을 흡수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밀가루는 밀을 건조시커 가루로 만든것인데요
수분이 거의 없는 상태로 보면됩니다
이 상태의 마른 면에서 물을 넣고 끓이게 되면 많은 수분량에 의해 수분을 흡수하는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밀가루가 물을 흡수하는 원리는 "수분 흡수"라고도 하며, 밀가루가 물과 접촉하면 밀가루 속의 단백질과 전분 분자가 물과 결합하여 국지적으로 수분을 흡수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전분 분자들은 분자간 결합을 풀고 분자 내부에 물 분자가 침투하게 되어 부피가 커지고 점차 더 많은 물을 흡수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로 밀가루가 물을 흡수하여 반죽이 된 후 오븐에서 구워지면 공기중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반죽이 팽창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