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을 자는데 밤에도 숙면을 못하고 세번이상 깹니다
저는 예전부터 도무지 숙면을 못하는데요.
잠을 청하면 잠이 더 달아나고 낮에는 피곤해서 힘이드네요.
한의원에서 약도 먹어보기도 했는데 도움이 않되고 자꾸만 신경쓰입니다.
잠을 잘자야 건강에 도움이 될텐데 수면유도제 같은걸 병원에서 처방받아서 가끔 먹고 있읍니다만 그것도 낮에 졸리기만하고 활력이 없는데 도움될만한것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성엽 약사입니다.
당장에는 이러한 증상을 신경과 등 병원을 방문해, 뇌파검사 등 정밀한 진단을 통해 확인하여 근본적인 문제가 없는지를 보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병원의 지시에 따라 처방약이 있을 시 꾸준히 복용을 하도록 하시고, 보조적으로 영양제 등 관리는 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마그네슘이나 멜라토닌 등을 복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을 내원하지 않고 영양제나 약국에서 판매하는 일반약으로 해결하는 것은 현재 상황에서 개인적으로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환영 약사입니다.
병원에서 처방받으신 약 종류 알고 계신가요? 보통 처방 약은 수면유도제 보다는 수면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수면제는 낮까지도 졸음오고 기력이 없는 경우가 생겨서, 용량을 절반으로 조절하시거나 처방없이 약국에서 일반약으로 수면유도제 복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수면유도제는 내성, 의존성이 없고 낮시간 졸음이 적은 편입니다.
멜라토닌, 테아닌 등 수면보조 영양제 복용을 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길병철 약사입니다.
수면제 및 수면유도제 등을 처방 받는 것보단
수면 유지에 도움을 주는 약물을 처방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스틸녹스 CR, 사일레노(독세핀), 에스조피클론 등에 대해 주치의와 논의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추가적으로 긴장 완화에 도움을 주는 테아닌, 마그네슘, 아슈와간다 등을 평소에 섭취하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아쉬아간다추출물과 테아닌을 추천드립니다. 중간에 깨는 WASO시간 자체를 줄이는 데이터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동건 약사입니다.
주무시는 도중에 깨시는 경우에는 전문의약품인 멜라토닌 서방정을 복용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인 멜라토닌은 반감기가 매우 짧아서 복용하시더라도 효과가 지속되지 않으며, 주무시다가 깨는 것에는 큰 효과를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건강기능식품 형태의 멜라토닌은 현재 질문자분의 상황에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문의약품인 멜라토닌 서방정인 라톤 서방정이나 서카딘 서방정의 경우 복용 시 약효가 주무시는 동안 장시간 유지되기 때문에 주무시다가 자주 깨시는 경우, 즉 숙면의 유지가 필요하신 경우 효과적입니다.
이외에도 증상이 심하신 경우 수면제인 졸피뎀을 복용하시는 것도 한 방법일 수 있으며, 졸피뎀을 복용하시더라도 잠에 빠져드는 것이 아닌 숙면 유지를 도와주는 서방정 형태의 약인 스틸녹스 CR정 같은 약을 복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수면에 들기 어려워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상황이라면 우선 테아닌 마그네슘 멜라토닌과 같은 수면 영양제를 복용해보시고 그래도 수면에 들기 어렵다면 필요에 따라 수면 유도제를 추가해보시는 형식으로 사용해보시는걸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은혜 약사입니다.
수면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이되는 영양제가있습니다.
테아닌 성분이 들어있는 영양제를 드셔보세요. (더파르마 굿나잇 등) 숙면에 정말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수면이 어려운 경우 여러 방법을 취해 볼 수 있겠습니다. 예를들어 식물성멜라토닌 영양제를 복용하면서 수면 습관을 개선해 볼 수 있겠습니다. 수면장애가 심한 경우 안정제, 수면제 등을 진료를 보고 처방 받을 수 있겠습니다. 증상에 맞게 선택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수면 장애에 관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수면장애가 있는 경우 수면 관련 영양제, 수면 유도제, 안정제, 수면제 등을 복용 할 수 있겠습니다. 증상과 상황에 따라 약국에서 구매하시거나 처방을 받는 것이 도움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