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가 잘 씻지않으려고해서 고민이에요


전에는 씻는걸 좋아하는편은 아니었지만
세면대에 장난감 주면서 놀라고하고 저는 씻기고 했거든요.
머리는 샴푸캡 씌워서 감겼는데 싫어할때도 신경안쓸때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욕실에 잘들어가려고 하지않고
옷벗기려하면 울먹이며 "씻기려고?"합니다.

샤워기로 물뿌리려고하면
무섭다,싫다하며 엄청웁니다.

전에 워터파크에서 미끄럼타다가 물을 좀먹은적이있는데 그것때문인것같기도 합니다.

달래도보고 화내도보고.. 하루이틀도아니고 저녁마다 힘이드네요.

어떻게해야할까요?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물 온도 조절하기
    아이들은 체온 변화에 민감하므로 물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해줘야 합니다. 따뜻한 물을 사용하되, 너무 뜨겁거나 차가운 물은 피해야 합니다.

    단계별로 진행하기
    처음부터 모든 과정을 한꺼번에 진행하려고 하지 말고 단계별로 조금씩 진행해보세요. 예를 들어, 머리 감기부터 시작해서 점차 몸 전체를 씻어 나가는 식으로 진행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안정감 주기
    아이들이 긴장하거나 불안해하지 않도록 안정감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노래를 부르거나 동화를 읽어주는 등의 방법을 활용해보세요.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물에 대한 안 좋은 경험을 했다면 씻는 것을 무서워 할 수 있고, 씻는 것 자체를 두려워하며 씻는 것 자체를 거부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기에 아이와 현재 물에 대한 공포감을 해소시켜 주는 것이 좋은데요.

    아이에게 왜 몸을 씻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부드럽게 설명을 해주시고, 물에 대한 공포감은 놀이를 통해서 물에 대한 공포감을 떨쳐낼 수 있도록 해주세요.

    또한 목욕 및 물놀이 시 안전하게 물을 사용하는 방법도 알려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대체로 씻는것을 싫어 할겁니다. 따라서 씻는다고 들어가면 대부분은 들어가지 않으려고 할겁니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씻는게 아니라 물놀이를 한다는 인식을 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렇게 해주시면 대부분의 아이들은 물놀이를 시작해서 나오기 전에 호다닥 씻어 준다면 씻기는 끝이 날겁니다. 목욕을 하는동안 아이와 교감을 쌓을수도 있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몸 일부만 씻는 것으로 천천히 진행 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씻는 시간을 짧게 하고, 아이가 점진적으로 익숙해 지도록 하세요

    욕조 목욕을 할 때는 부모와 함께 들어가서 옆에서 도와주는 것도 아이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씻기를 거부할 때는 재미있는 요소를 추가해보세요. 장난감이나 물놀이를 활용하거나, 씻기 놀이를 만들어 흥미를 유도합니다. 또 씻기 후 칭찬이나 작은 보상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연계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알게모르게 아이가 물에 대한 안 좋은 기억이 있었기에 생각나서 이럴 수 있습니다. 아이가 지금처럼 목욕에 대해서 거부감을 드러낸다면 아이가 목욕을 싫어하는 이유를 찾아보시는게 도움이 되실겁니다. 보통은 목욕이 재미가 없고 지루해서 그렇습니다. 이럴때에는 목욕장난감을 준비해주시거나 욕조에 물을 받으시고 거품을 활용한 거품목욕을 하게 해주시면 확실히 목욕에 흥미를 갖게될 수 있습니다. 또한 목욕과 관련된 재미있는 동화책이나 수준에 맞는 애니메이션 영상에 보여 주셔도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씻는다는 게 무섭다고 이미 인식이 박힌 듯 한데, 물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기 위한 활동이나 다양한 놀이를 해보는 게 좋겠고 위생과 관련한 만화영화나 그림책을 이용해서 스스로 씻는 게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