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쌈박한뱀눈새101
쌈박한뱀눈새10123.09.08

침대만 보면 올라가서 뛰는 아이 어떻게 고치나요?

뛰지 말라고 그렇게 말을 해도 보이면 일단 올라가서 뛰어요.

어떻게 가르쳐야 효과적일까요?


6살이 됐는데도 고쳐질 기미가 없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뛰어다니고 놀고 싶은 욕구는 지극히 정상적인 욕구입니다.

    하지만 장소선택에 있어 아이들이 이성적으로 판단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침대에서 뛰지 못하게 하는 것보다 집 안에 트렘플린 등의 도구를 준비해주어

    그곳에서 신나게 뛰어 놀게 하시는 것이 아이를 위해 더 현명한 방법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거실이나, 일반 방에서 뛰는 건 재미가 없으니, 아이들이 침대에서 뛰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너무 뛰고 싶어 하는 데 못 뛰게 하는 것도 아이들에겐 스트레스가 될 수 있으니,

    집에서 뛰는 방방이 같은 놀이기구를 사서 뛰게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의 아이들도 침대에서 뛰는 아이들이 많답니다

    하지만 부모님이 침대는 잠자는 공간이라는 것을 정확히 인지를 시켜 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뛰고 싶어하면, 밖으로 데리고 나가서 아이의 에너지를 분출 시켜줄 필요가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6살이면 말로하면 듣지않기에 행동으로보여주고 행동이나타날때마다 단호하게 훈육해주시는게좋겠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9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하지말라, 안된다, 그만해라 라는 단어는 아이를 위축시킬 뿐만 아니라 소극적 좌절감을 가져 올 수도 있다고 봅니다. 에너지가 너무 넘치는 아이들이나 너무 소극적인 아이들이 주로 태권도를 배우며 예절과 가정에서 지켜야할 규칙등도 배운다고합니다. 일단 야외놀이를 많이 해서 에너지를 발산하도록 하는게 좋아요. 집안에서는 너무 활동적이 아닌 블록놀이나 보드게임,독서등도로 자연스럽게 안정적으로 이끌어 주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그래도 안된다면 아이가 안전하게 마음껏 뛸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시고 소음방지용 매트리스에서만 놀수있게 규칙을 정해주는것도 방법이예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다면 침대에서 내려올수있게 부모가 가서 직접데리고이시고 훈육을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침대에서 아이가 뛰면은

    혼내주세요

    다른 사람의 잠자리인 침대에서 뛰면

    안된다고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침대에서 뛰면

    이에 대하여 단호하게 혼내셔서

    앞으로 뛰지 못하게 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 양육에 처벌을 활용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 됩니다.

    문제 행동에 따라 간식을 제한하거나 유투브나 기타 영상시청 시간에 제한을 두는 방법을 활용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침대로 올라가서 뛰기 전에 그 즉시 행동을 제지 하시고 아이를 앉힌 후, 아이의 눈을 마주치면서 침대에 올라가서 뛰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침대에 올라가서 뛰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를 설명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에게 기본예절습관을 교육을 알려주셔서 아이의 행동 습관이 교정 될 때 까지 계속적으로 지도를 해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