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기발한무당벌레114
기발한무당벌레114

멀미를 하게 되는 이유가 뭔지 알고싶은데 아시는 분 계신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31

요즘에는 멀미를 잘 안하는데 옛날에는 버스로 1시간거리만 가도 멀미를 할 정도로 심했어서 멀미약은 항상 먹었었는데 혹시 어떻게 멀미를 하는건지 알고싶어서 물어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멀미의 원인은 눈으로 보는 움직임과 균형감각이 인지하는 움직임에 차이가 생겨 발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구토 메스꺼움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시야를 바깥을 멀리 보는 것이 도움이 되며, 미리 사전에 멀미약을 복용하는 것이 멀미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으면 합니다.

    평가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오 의사입니다.

    멀미의 대표적인 증상인 오심과 구토의 경우에,

    흔히 사용하는 단어인 오심과 구토(nausea & vomiting)는

    sea sickness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nautia와 discharge(분출)를 뜻하는 라틴어인 vomere에서 유래했습니다.

    메스꺼움을 의미하는 nausea는 목과 상복부에서 느껴지는 주관적인 불쾌한 물결같은, 당장이라도 구토를 할 것만 같은 감정으로 정의하며 구토를 의미하는 vomiting은 위장이 수축하며 횡격막이 하강하고 위의 분문부(cardia)가 열려 위장의 내용물이 입으로 forceful expulsion되는 상황으로 정의합니다.

    멀미를 할 때, 전신마취에서 깨고 나서, 항암이나 방사선치료를 받을 때, 음식을 잘못 먹었을 때 우리는 모두 오심을 느끼고 구토를 합니다.

    이는 우리 몸의 전정기관이나 뇌의 chemoreceptor trigger zone, 위의 mechanoreceptor 등의 정보가 brainstem에 위치하는 vomiting center로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 인체는

    CNS, vestibular system, GI tract and heart, CTZ(chemoreceptor trigger zone)의 정보를 medulla에 위치한 nucleus tractus solitarius로 모으고, 이 장소가 vomiting center입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제가 잉크에 게시글로 올려두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차멀미의 원인은 감각기관의 정보 불균형으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차에 탔을 때 시선을 고정하고 책이나 스마트폰을 보는 경우 균형기관과 불균형으로 인하여 멀미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독서나 시청을 피하고 먼 곳을 바라보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이러한 멀미는 상황이 반복되는 경우 학습을 통해 습관화 되면 극복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멀미는 주로 몸이 느끼는 움직임과 시각적인 정보가 일치하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나 버스를 타고 움직일 때, 귀의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부분(내이)은 움직임을 감지하지만 눈은 그 움직임을 보지 못해 뇌가 혼란을 일으키는거죠. 이로 인해 뇌는 비정상적이라는 신호를 보내며 불필요한 구토나 두통 등의 불편함을 유발하게 됩니다.